분야 : 종교·철학 > 천도교 3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천도교
  • 상주동학교당유물 / 尙州東學敎堂遺物 [종교·철학/천도교]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 동학교당(전통건조물 10호)에 소장되어 있는 동학 관련 유물.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11호. 지정된 유물은 총 177종 1,084점으로 전적이 100종 131점, 판목 67종 792판, 복식 6종 31점, 유물 4종 130점이며, 제작시기

  • 손병희 / 孫秉熙 [종교·철학/천도교]

    항일기의 동학인·독립운동가·교육사업가(1861-1922). 호는 소소거사(笑笑居士)·의암(義菴). 1894년 동학 북접통령이 되어 논산으로 나아가 전봉준과 합세하였다. 그러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하여, 함경도와 평안도 지방으로 피신하였다. 1897년 12월 제3세 교

  • 시천주 / 侍天主 [종교·철학/천도교]

    최제우(崔濟愚)가 세운 동학의 근본사상. 천주를 모신다는 뜻이다. 천주는 일반적으로 절대자 또는 초월자를 의미하는데, 천도교에서는 하느님을 한자로 표기할 때 쓴다. 천도교에서는 인간 속에 하느님이 내재한다고 본다. 따라서 시천주사상은 곧 하느님이라고 하는 인간지상주의의

  • 신문화운동 / 新文化運動 [종교·철학/천도교]

    일제가 문화정치를 표방하자 천도교에서 이에 대응하여 벌였던 다양한 계몽운동들. 1919년 9월에 이돈화(李敦化), 박래홍(朴來弘), 정도준(鄭道俊) 등의 발기로 ‘천도교리의 연구, 선전과 조선 신문화의 향상, 발전’을 목적으로 내건 천도교 청년교리강연부(靑年敎理講硏部)

  • 심고법 / 心告法 [종교·철학/천도교]

    내 몸에 모셔져 있다고 믿는 한울님에게 일상적인 소원이나 하고자 하는 일에 감응이 있기를 아뢰는 동학의 종교행위 가운데 하나. 심고형식과 내용은 최시형이 수찬한 <내수도문>에 나온다. 이것은 마치 부모에게 고하라는 것이다. 심고법은 마치 한울님 앞에서 맹세하는 면이 강

  • 양천주 / 養天主 [종교·철학/천도교]

    사람의 몸에 한울님을 기른다는 뜻으로, 동학의 근본사상 가운데 하나. 사람의 몸에 이미 모시고 있는 바 그 한울님을 항시 끊임없이 힘써 길러야만 된다는 최시형의 주장이다. 양천주는 동학의 사상적인 극의로서의 시천주의 자각 위에서만 가능하다고 볼 때, 이것은 시천주사상의

  • 연원제 / 淵源制 [종교·철학/천도교]

    동학과 천도교의 포교원리. 19세기 말 동학이 정부로부터 사학으로 몰려 탄압받던 시대에 비밀포교 방식으로 등장했다. 각 지역 포교담당자를 접주로 임명했다. 접주는 행정상 명칭이지만 도의 전수라는 측면에서 연원이라고 불렀다. 1894년 갑오동학혁명시 남북접 대립, 천도교

  • 오관 / 五款 [종교·철학/천도교]

    천도교의 교인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기본의무. 주문(呪文), 청수(淸水), 시일(侍日), 성미(誠米), 기도(祈禱) 등의 다섯 가지 수도조목(修道條目)이다.

  • 오지영 / 吳知泳 [종교·철학/천도교]

    미상∼1950년. 조선 말기 동학농민운동과 1920년 이후 천도교 혁신운동 지도자. 1894년(고종 21)의 동학농민운동 당시 양호도찰이라는 중책을 담당하였다. 1905년 손병희에 의하여 천도교로 선포된 이후에는 총부에서 최고간부의 한 사람으로 초기의 기틀을 닦는 데

  • 용시용활 / 用時用活 [종교·철학/천도교]

    때를 살려서 쓸 것을 강조한 동학의 2대교주 최시형의 가르침. 이것은 본래는 하루 열두 시간을 살려서 쓰라는 의미였으나, 나중에는 넓게 풀이하여 시간, 시기, 시대를 알고 신속히 활용하라는 뜻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천도교가 1900년대초에 개화운동을 벌였고 1910년대

1 2 3 4
페이지 / 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