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운곡집 / 雲谷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송한필의 시·잡저·제문·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 1책. 연활자본. 1910년 송종필(宋鍾弼)이 중간한 『구봉집(龜峯集)』 권11에 부재되어 있다. 시 32수, 잡저 12편, 제문 1편, 서(書) 1편, 잡설 8칙, 비문 1편, 송서(送序) 1편

  • 운담집 / 雲潭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오세웅의 논·서(序)·기·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연활자본. 현손 상봉(相鳳)이 유고를 모아 편집한 것을 6대손 정원(廷源)이 이어서 간행하였다. 『운담집』에는 1892년에 쓴 이심전(李心傳)·정재면(鄭在勉)·정재명(鄭在明)·이방규(李邦奎

  • 운대만고 / 雲臺漫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동태의 시·서(書)·설·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6권 8책. 필사본. 『운대만고』 권두에 자서(自序)인 「만고소서 漫稿小序」의 내용으로 보아 저자 생존시에 직접 쓰여진 고본(稿本)으로 보인다. 권1∼8은 시 1,409수, 권9·10은 주(奏) 1편

  • 운명설화 / 運命說話 [문학/구비문학]

    인간의 운명에 관한 이야기. 운명설화는 운명을 인간의 노력으로 거부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 기정 사실화하려는 결말을 가진 이야기와, 인간의 노력에 의해 회피하거나 극복할 수 있다는 결말을 가진 이야기로 양분된다. 운명설화는 여러 가지 형태의 이야기를 수용하고 동시에 극

  • 운사유고 / 雲沙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강준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불분권 1책. 석인본. 자는 흥민(興民), 호는 운사(雲沙). 아버지는 강진태(姜鎭泰)이며,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로 박희묵(朴希默)의 딸이다. 1885년(고종 22)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그

  • 운산구곡지로가 / 雲山九曲指路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2음보 1구로 하여 모두 60구이며, 음수율은 3·4조가 우세하다. 내용은 백운산(白雲山)구곡(九曲)을 정상 신선경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노래한 것이다. 이 작품은 경상북도 봉화지방에서 수집된 필사본으로, 순한글로 되어 있어서 규방가사작품으로 보

  • 운산시호가 / 運算時呼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尙州) 동학 본부에서 간행한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2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당시 동학 교주 김주희(金周熙)로 추정되나 확증은 없다. 이 가사는 「운산시호가」와 「송구영신가(送舊迎新歌)」 2편으로 이

  • 운애산방 / 雲崖山房 [문학/고전시가]

    19세기 후반, 인왕산 필운대 근방에 있었던 가객(歌客) 박효관(朴孝寬)의 집. 운애산방에는 많은 남녀 가객들이 풍류 모임을 열거나 노래를 배우기 위해 모여들었으며, 가객으로서의 명성 때문에 당시 여항 음악인들은 그를 존경해서 이름을 부르지 않고 반드시 ‘선생(先生)’

  • 운영전 / 雲英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한문·한글 필사본. 한문본과 한글본이 있는데, 부분적인 차이는 있으나 대체의 줄거리는 동일하다. 한문본이 원본이고 한글본은 한문본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이본이라 여겨진다. 이 작품은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사궁 수성궁을 배경으로

  • 운율 / 韻律 [문학/고전시가]

    시형(詩形)을 이루는 음성조직(sound structure)의 수사적·미학적 효과. 운율은 물론 이러한 리듬 가운데서 일차적으로 언어의 리듬에 한정된다. 우리 나라에서 이 용어는 아직 다소 모호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는 언어표현에서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