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우적가 / 遇賊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원성왕 때 영재(永才)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에 ‘영재우적(永才遇賊)’이라는 제목 아래 이 노래와 아울러 연기설화가 실려 있다. 영재가 도적을 만나 그들의 명에 따라 지은 노래로 『삼국유사』에는 이 노래의 제목이 전해져 있지 않다. 「우적가」의
우주두율 / 虞註杜律 [문학/고전시가]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5.5×16.7cm이고, 반곽은 18.3×12.3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두율(杜律)이다. 원(元)나라 우집(虞集)이 주석을 한 것으로, 발문(跋文)은 成化7(1471)에 김
우탁설화 / 禹倬說話 [문학/구비문학]
고려 말의 유학자 우탁(禹倬)에 관한 설화. 우탁은 유학에서 인정할 수 없는 민간신앙 행사인 음사(淫祀)를 타파하는 데 아주 강경한 자세를 보였기 때문에 관련 설화가 일찍부터 문헌에 올랐다. 『고려사』 열전에서는 우탁이 영해사록(寧海司錄)으로 부임하였을 때 그 지방 사
우투리설화 [문학/구비문학]
아기장수인 우투리가 어머니 때문에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에게 죽임을 당하였다는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超人譚)에 속하며, 경상남도 함양, 전라남도 구례, 전라북도 남원 등 지리산 부근에 특히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 설화에 나타나는 날개는 새 시대를 열
우화 / 寓話 [문학/구비문학]
도덕적인 명제(命題)나 인간 행동의 원칙을 예시(例示)하는 짧은 이야기. 우화는 장르적으로 보면 서사적인 것과 교훈적인 것이 절충된 단순 형식이라 할 수 있고, 그들이 가르치는 교훈은 비교적 저차원적인 사리 분별을 위한 것이나 실용주의적인 것이다. 우화라고 하면 대체로
우화소설 / 寓話小說 [문학/고전산문]
우화의 수법을 구사한 소설. 흔히는 전승우화 특히 동물우화를 모태로 하여 발전한 소설을 이르지만, 우화의 개념을 보다 넓게 잡으면 우화소설의 개념이나 범위도 확대될 수 있다. 우화소설은 이와 같은 우화의 전통으로부터 인물·사건의 전형성, 풍자성, 윤리적 목적의식을 물려
우활가 / 迂濶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지은이가 자신의 초탈한 생활상을 소재로 자연을 벗삼아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작품구성은 전 92구에 7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단의 구성내용을 순서에 따라 살펴보면
우후요 / 雨後謠 [문학/고전시가]
1618년(광해군 1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고산유고(孤山遺稿)』 제6권 하편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30세 때인 1616년 당시 예조판서 이이첨(李爾瞻) 일파의 문란한 정치를 탄핵하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는데, 이 작품은 그곳에서 지은
우희국사가 / 憂喜國事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임진왜란·병자호란·인조반정 등 작자가 겪은 역사적 대사건들을 시대순으로 읊은 장편 한역가사이다. 본래 한글로 지은 것인데, 현재 한글본은 전하지 않으며 한역본만 『경주정씨세고』·『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이 가사는
운곡시사 / 耘谷詩史 [문학/한문학]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생존한 문인 원천석의 시 「대민음」·「회삼귀일 會三歸一」 등을 수록한 시집. 5권. 왕조교체기의 역사를 시로 다루었으므로 ‘시사(詩史)’라고 하였고, ‘운곡행록(耘谷行錄)’이라고도 한다. 작자는 고려 말에도 벼슬을 하지 않았고, 조선왕조가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