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우당시초 / 于堂詩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윤희구의 시 「교거잡감」·「동경잡영」·「소조자제」 등을 수록한 시집. 불분권 1책. 연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어 간행연도와 간행경위 등을 알 수 없다. 『우당시초』는 470여 수의 시로 이루어졌다. 오언절구 3수, 오언율

  • 우대후 / 牛大吼 [문학/고전시가]

    고려 공민왕 때 불려진 참요(讖謠). 『고려사』 권39 공민왕 10년(1362)조와 『문헌비고』에 그 지어진 경위와 한역가(漢譯歌)가 전한다. 공민왕 10년인 신축년 겨울에 홍건적(紅巾賊) 20여만명이 압록강을 건너 쳐들어와 서울을 함락하고 주둔한지 수개월이 되었다.

  • 우렁이각시 [문학/구비문학]

    가난한 총각이 우렁이 속에서 나온 여자와 금기를 어기면서 혼인했으나 관원의 탈취로 파탄이 생겼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가운데 변신담(變身譚)에 속한다. 전국 여러 곳에서 구전되고 있다. 우렁이각시는 자기를 데리러 온 관원의 하인에게 반지·비녀·옷고름·겉옷을

  • 우리동무 [문학/구비문학]

    1927년 한충이「원(猿)의 지혜」·「축계망리」 등 총 30여 편의 이야기를 수록하여 발간한 동화집.전래동화집. 1927년 한충의 운향서옥(芸香書屋)에서 발간하였다. 표지에는 ‘朝鮮童話(조선동화) 우리동무’라 되어 있다. 최남선(崔南善)이 서문을 쓰고, 이상범(李象範)

  • 우부가 / 愚夫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경세설 警世說』과 『초당문답가 草堂問答歌』에 13편의 가사 중 하나로 실려 전한다. 이 작품은 제목에 드러나 있듯이 어리석은 사나이[愚夫]의 행적을 다루고 있다. 어리석은 사나이로는 ‘개똥이’·‘꼼생원’·‘꽁생원’ 세 사람이 등

  • 우상전 / 虞裳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단편소설. 영조 때에 역관인 우상(虞裳)이상조(李湘藻, 일명 李彦瑱 이언진)가 죽자 그의 행적과 남긴 시를 모아 엮은 열전체(列傳體)의 변체(變體)이다. 『연암별집 燕巖別集』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그러나 끝부분이

  • 우식악 / 憂息樂 [문학/고전시가]

    신라 눌지왕이 지은 노래. 가사와 악곡은 전하지 않고, 제목과 창작 연대 및 경위가 『삼국사기』 잡지(雜志) 제1 악조(樂條)와 열전(列傳) 제5 박제상조(朴堤上條)에 전하며, 그 창작경위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눌지왕이 고구려와

  • 우애설화 / 友愛說話 [문학/구비문학]

    형제간의 우애를 다룬 설화. 우애설화는 구전 설화로 널리 전해지고 있는데, 형제우애설화라고도 한다. 우애설화는 형제 간의 갈등·우애·경쟁·협력 등의 관계 방식이 주가 된 이야기를 말한다. 이 이야기는 어떠한 어려운 일이 있어도 형제간의 우애를 지키려는 착한 형 또는 동

  • 우원집 / 愚園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위항시인 임성원의 시「우음」·「필운대」 등을 수록한 시집. 2권 2책. 필사본. 선본(善本)이며, 간행하기 위하여 누군가가 정리해놓은 듯하나 서문과 발문은 갖추어져 있지 않다. 건(乾)·곤(坤) 2책에 330여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문(文)은 한편도 없다.

  • 우재집 / 愚齋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김노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필사한 시문집. 8권 4책. 필사본. 저자에 관한 기록은 실려 있지 않다. 그러나 강종희(姜宗喜)·김인식(金寅植)이 쓴 서문에 의하여 영조∼철종 때까지 생존하였던 인물로 보인다. 1884년(고종 21) 손자 인식(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