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재생설화 / 再生說話 [문학/구비문학]

    죽음을 전제로 한 삶의 새로운 탄생을 주요 줄거리로 삼는 설화. 재생설화는 이제 입사식의 흔적을 거의 담고 있지 않다. 남아 있는 것은 원초 사유와 고대 종교심성의 민족심상이다. 죽었다 살아나는 불사의 소망이 빚어놓은 민족적 이미지는 여러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결국

  • 재생연전 / 再生緣傳 [문학/고전산문]

    중국소설「수상회도재생연(繡像繪圖再生緣)」의 번역소설. 52권 52책. 국문 필사본. 역자와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중국소설 원본은 총 20권으로 7자탄사(七字彈詞) 형태이다. 고종 때 번역가 이종태에 의하여 번역되어 낙선재로 들어간 다수 중국소설 중의 하나일 가능성이 많

  • 재송여승가 / 再送女僧歌 [문학/고전시가]

    1723년경에 남철이 지은 연정가사. 「재송여승가」는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92구이다. 음수율에서는 3·4조, 4·4조가 주조를 이루나 2·3조, 2·4조, 3·3조, 3·5조, 4·5조 등도 나타난다. 자신의 구애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여승의 답신에 대하여 포기하

  • 재실 / 齋室 [생활/주생활]

    단묘 또는 능원에 재관이 재계하며 제향을 준비하는 곳. 재실은 제사에 참여하는 제관이나 집사자들이 제사 전에 일정기간 제소에서 머물면서 재계를 행하기 위해서 마련한 공간이다. 제사의 격에 따라 재전이나 재궁으로 불렀으며 왕이 재계하는 공간을 특별히 어재실이라고 구별하

  • 재양 / 載陽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화성지역의 옛 지명. 본래 안양(安陽)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남양군(南陽郡)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현종 때 재양으로 바꾸어 수주(水州)에 속하였다가 한때 인주(仁州)에 소속된 적이 있었고 뒤에 남양에 속하였다. 조선 태종 때 남양도호부(南陽都護府)의 속현이

  • 재외동포 / 在外同胞 [사회/사회구조]

    외국에 거주하는 우리나라 동포. 해외교포란 한반도 밖의, 바다 건너의 교포라는 의미를 강조하고, 재외교포란 재일교포·재미교포 등의 재외를 종합한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하나는 재외국민(在外國民)이고 하나는 한국계 외국인(韓國系 外國人)이다. 재외국민이란 한국적을 갖고

  • 재원도 / 在遠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에 있는 섬. 동경 126°10′, 북위 35°07′에 위치한다. 목포에서 북서쪽으로 45㎞, 임자도에서 서쪽으로1.5㎞ 지점에 있다. 면적은 3.03㎢이고, 해안선 길이는 11㎞이다. 동쪽 해안의 중앙부에 인접한 부속도서 윗목섬[상항월도,

  • 재일본장가 / 在日本長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백수회(白受繪)가 지은 가사. 총 39구. 목판본과 고사본(古寫本)으로 전하는 작자의 문집 『송담집(松潭集)』에 수록되어 있다.潭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1592년(선조 25) 19세의 나이로 일본에 포로가 되어 끌려가서 9년 후에 석방되어 귀국할

  • 재일조선인귀환 / 在日朝鮮人歸還 [사회/사회구조]

    식민지 시기에 또는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에 강제동원되어 도일한 한인들이 일본 패전을 계기로 1945년 8월 이후부터 1950년에 걸쳐 해방된 조국으로 귀환하는 사회·문화적 현상. 1945년 8월 15일 이전, 일제 식민지 지배하의 한반도에서 경제적 곤란의 해결 및 학업

  • 재일조선인총연합회 / 在日朝鮮人總聯合會 [정치·법제/정치]

    1955년 5월 25일 결성된 친북한계 재일한국인 단체. 북한은 조총련의 과업으로 4개의 강령을 설정하고, 재일한국인의 법적지위로서 일본에 거주할 권리, 북한에 자유로이 내왕, 귀국할 권리, 민족교육기관을 관리, 운영할 권리, 직업과 경영활동에서 일본인과 평등한 대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