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재거일논음 / 齊居日論音 [정치·법제]

    1794년(정조 18) 5월 20일. 정조가 재거일에 중외 신민에게 윤음한 문서. 이 문서 내용이《정조실록》에 실려 있어 발급시기와 발급인 등을 알 수 있다. 그 내용은 정조가 부친인 사도세자의 재계일에 사도세자의 죽음을 애도하며 사도세자의 도량과 연로를 열어놓은 공덕

  • 재건국민운동 / 再建國民運動 [사회/사회구조]

    5·16군사정변 직후부터 국민의 도의·재건의식을 높이기 위해 벌였던 관주도적 범국민운동. 1961년 6월 군사정부가 벌인 재건국민운동은 1961년 6월부터 1964년 8월 재건국민운동본부가 해체될 때까지 이어진 관주도적 국민운동이다. 「재건국민운동에 관한 법률」(196

  • 재관근속증명서 / 在官勤續證明書 [정치·법제]

    1908년에 발급된 궁내부 전 예식관 김조현(金祚鉉)의 관직 근속 증명서. 일종의 경력증명서이다. 2장의 문서로 하나는 1896년 11월부터 1898년 1월 17일까지 외국어 학교부교관으로 근속한 증명서이다. 다른 하나는 1898년 1월 18일부터 같은 해 6월 17일

  • 재궁 / 梓宮 [생활/주생활]

    국왕 또는 왕비의 시신을 넣은 관. 황제나 황후의 관을 재궁이라 하였는데 이는 가래나무 만들었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에 재궁은 왕과 왕비의 관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왕세자나 왕세자빈의 경우는 재실이라 하였다. 재궁은 내재궁과 외재궁으로 구분되는데 각각 관과 곽

  • 재담 / 才談 [문학/구비문학]

    일상생활에서나 구전하여 온 여러 가지 전승물(傳承物)에서 듣거나 실제로 하는 재치있는 말들. 실제 생활의 재담을 가리키기보다는 일반적으로 설화를 중심으로 하는 구전상의 재담과 전문 예능 집단의 연희에서 관중의 흥미를 돋우기 위하여 구연되는 재치 있는 말을 지칭한다. ‘

  • 재도관 / 載道觀 [문학/한문학]

    문장은 도(道)를 내용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는 도덕주의적인 문학관. 재도관은 당나라의 한유(韓愈) 이후에 북송 고문가들이 전개한 도통(道統)·문통(文統)의 이념을 종합하고 계승하는 과정에서 북송의 도학가들이 도학(道學)을 전제로 문학의 가치를 인정할 것을 주창한 관점을

  • 재동원재자고수찰진적 / 載東原載子高手札眞蹟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잡가류(雜家類) 중화총서위원회(대만) 편, 영인본, 대만서국, 1956, 불분권 1책(58장). 재진(載震), 재망(載望)의 편지 각 31함(函)씩을 영인한 책이다. 대만서국에서 중화총서위원회가 발행한 <中華叢書>이다.

  • 재령강 / 載寧江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신천군 두라면과 벽성군 이율면의 지남산(指南山, 623m)에서 발원하여 재령평야를 관류하여 대동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29㎞. 유역면적 3,671㎢. 가항거리는 38㎞로 300t급의 배가 상류의 상해(上海)까지 운항할 수 있어 재령철산의 철광을 송림제철소에

  • 재령광산 / 載寧鑛山 [경제·산업/산업]

    황해도 재령군 재령읍과 삼강면에 걸쳐 있는 철광산. 1907년에 대한제국 궁내부 소관으로 개발되었으며, 그 해 4월에 일본인 니시자키(西崎鶴太郎)가 궁내부의 위임을 받아 채광하여 일본의 야와타제철소(八幡製鐵所)에 보냈다. 1910년 일본정부에 이양되어 상공성의 소관으로

  • 재령군 / 載寧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중앙에 위치한 군. 동쪽으로는 봉산군·평산군, 서쪽으로는 안악군·신천군, 남쪽으로는 벽성군과 접해 있다. 동경 125°33′∼125°56′, 북위 38°09′∼38°34′에 위치하며, 면적 739.8㎢, 인구 11만 9800명(1944년 현재)이다. 1개 읍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