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장효근 / 張孝根 [종교·철학/천도교]

    1867-1946년. 독립운동가·천도교인. 1898년 8월 이종일·유영석 등과 함께《제국신문》의 창간, 보급에 참여하였으며, 1906년 6월에는 오세창·이인직·권동진 등과 같이 천도교의 기관지인 《만세보》를 창간, 민족혼을 일깨웠다. 그뒤 1909년 6월에는《대한협회

  • 장흥 / 張興 [역사/근대사]

    1903-1983. 독립운동가·군인·헌병 영장(營長). 일명 기진(基鎭). 경기도 고양 출신. 중국 상해(上海)·난징(南京)·쑤저우(蘇州) 등지에서 항일투쟁하였다. 1925년 2월 의열단원 오세덕(吳世德)의 권유로 상해 프랑스 조계내에 있던 한국청년동맹회에 가입, 항

  • 장흥고 / 長興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에 돗자리·유둔 등을 관장하던 관서. 고려는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즉위하여 대부상고를 장흥고로 하였고 소속관원으로 사(종5품) 1인, 부사(종6품) 1인, 직장(종7품) 1인을 두었다. 공민왕 때에는 사를 강등하여 종6품으로 하고, 부사·직장

  • 장흥반도 / 長興半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에서 남해안으로 돌출한 반도. 행정적으로는 강진군 마량면ㆍ칠량면ㆍ대구면, 장흥군 장흥읍ㆍ대덕읍ㆍ관산읍ㆍ용산면ㆍ회진면 등이 있다. 북쪽에는 탐진강(耽津江)이 동에서 서로 흘러 도암만(道巖灣)에 흘러들고, 동쪽은 보성만(寶城灣), 남쪽은 고금도(古今島

  • 장흥연곡서원 / 長興淵谷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원도리에 있는 서원. 1698년(숙종 2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민정중(閔鼎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6년에 민유중(閔維重)을 추가배향하고, 1726년(영조 2)에 ‘연곡(淵谷)’이라고 사액되었다. 선현배향

  • 장흥창 / 長興倉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전라도에 설치되었던 조창. 장흥창에서는 전라도 서남단지역의 세곡을 수납, 서해안의 해로를 이용하여 예성강 입구에 있는 경창(京倉)에 납부하였는데, 세곡의 운송을 위하여 적재량이 1,000석인 초마선 6척을 비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세곡의 수납을 주관하기 위하

  • 장흥향교 / 長興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교촌리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30년(인조 8)에 중수하였으며, 1631·1632·1902·1947·1950·1957·19

  • 장흥효 / 張興孝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33(인조 11). 조선 중기의 학자. 팽수의 아들, 어머니는 안동권씨이다. 김성일·유성룡을 사사, 뒤에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문하에 이휘일 등 학자가 있다. 1633년에 창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교지가 도착되기 전에 죽었다. 저서에『경당

  • 장희영 / 張喜榮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대한체육회 감사를 역임한 체육인. 서울 출신. 학창시절부터 운동을 즐겨 했으며, 1962년 한국체육관 역도부 사범으로 체육계에 입문하였다. 1965년 개인 도장 마포역도관을 열어 관장 겸 사범으로 많은 역사(力士)와 보디빌더(body builder)를 길러냈

  • 장희적 / 蔣熙績 [종교·철학/유학]

    1627-1705. 조선후기 유학자. 부친은 문진, 모친은 김득지의 딸이다. 아우가 사마시에 합격하자 과거를 그만두고 세심정을 지어 소요하였다. 1681년 중풍을 맞아 반신불수가 되었으나 거문고와 시주를 즐기며 여생을 보냈다. 1705년 7월 6일 병으로 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