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장한 / 長恨 [예술·체육/무용]
1927년 장한사에서 경성의 권번 기생들이 대사회적으로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기 위하여 창간한 잡지.대중잡지. 경성의 권번 기생들이 대사회적으로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기 위해 발간하였다. 편집 겸 발행인은 김보패(金寶貝)로 되어있으나, 실제 편집은 프롤레타리아 문학가
장한몽 / 長恨夢 [예술·체육/영화]
한국영화 개척초기의 번안신파 영화. 원작은 일인 작가인 미기홍엽의 <금색야차>, 각색 및 감독은 이경손이다. 전도 유망한 학생인 이수일이 애인의 변심으로 세상을 원망하게 된다. 애인 심순애는 장안갑부인 김중배와 마음에 없는 결혼을 하게 된다. 그녀에게 복수하기 위해 고
장한성 / 張寒星 [역사/근대사]
1891-1931.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국민대표대회에 고려혁명군사령부 대표로 참석하였다. 국민부와 조선혁명당을 조직하자 특립대장이 되어 동만지구총책임자로 활동하였다. 공산당원이라는 혐의로 중국 공안국에 체포, 옥사하였다.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장한성 / 長漢城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작품은 전하지 않고 다만 노래의 생성배경에 관한 이야기가 『고려사』 악지(樂志)의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에 전하고 있다. 『고려사』에 따르면 장한성은 신라의 국경인 한산(漢山) 북쪽 한강가에 있었는데, 신라에서는 거기에 중요한 진영
장한절효기 / 張韓節孝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목판본·필사본·활자본. 이 작품은 복수소설의 성격을 띠고 있다. 우리 고전소설에서 복수를 주제로 한 작품은 「김학공전(金鶴公傳)」 한 편이 있으나, 복수의 성격은 각각 다르다. 「김학공전」에서는 노비에게 살해된 어버이의
장한철 / 張漢喆 [문학/고전산문]
조선후기 대정현감, 흡곡현령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장차방(張次房)의 아들이다. 입신양명에 뜻을 두고 웅혼(雄渾)한 마음을 기르고자 그의 나이 25세인 1768년(영조 44)에 남제주의 산방산(山房山)을 오르고, 이듬해에는 한라산을 정복하였다. 177
장항 / 獐項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장단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장항현(獐項縣, 또는 古斯也忽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임강(臨江)으로 고쳐서 우봉군(牛峯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 때 장단(長湍)에 속하는 상서도성(尙書都省)의 관할이 되었다. 문종 때에는 개성부에 직속시켰다가 공
장항내연발전소 / 長項內燃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위치한 풍농비료공장구내에 설치되었던 시설용량 1,250㎾급 내연발전소. 1972년 11월 군산∼장항간 해저에 설치된 22.9㎸의 송전선이 파손되어 당시 국내 유일의 동(銅)제련소인 장항제련소를 비롯한 이 지역에 심각한 전력난이 발생하자 그해 1
장항선 / 長項線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역과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역 사이에 부설된 철도. 충청남도 천안에서 시작하여 서해안을 따라 전라북도 군산과 익산을 연결하는 총연장 154.4㎞의 노선이다. 장항선은 여객 및 화물수송을 모두 담당하고 있다. 2009년 여객열차가 익산 방향의 하행선이
장항제련소 / 長項製鍊所 [경제·산업/산업]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있는 종합비철금속제련소. 일제강점기인 1936년 조선제련주식회사로 설립되어 공장조업이 개시된 이래 우리 나라 비철금속제련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여왔다. 초기에는 동제련공장만이 설치, 운영되어왔으나, 광복 이후 1964년에는 연제련공장이 준공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