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윤례 / 李潤禮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제 제12호「진주검무」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무용가. 1903∼1995.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기예능 보유자. 경상남도 진주 출신. 진주검무 장단과 무용을 특기로 하였다. 1912년 제일 보통학교를 졸업하였고 13세에 진주에서
이윤망 / 李贇望 [종교·철학/유학]
1694년(숙종 20)∼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 유학자. 아버지는 이경배, 어머니는 정영주의 딸이다. 처부는 이의연이다. 재종숙 이명배에게서 수학하였는데, 모계는《소학》이 학문하는 근본임을 그에게 가르쳤다. 이후 밀암 이재를 찾아가 뵈었다. 슬하에 아들 이
이윤보 / 李允甫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사관, 사륜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단편적으로 전하는 자료를 통해 진화(陳澕)·손득지(孫得之)·이백순(李百順)·이규보(李奎報)·이인로(李仁老)·최자(崔滋) 등과 거의 비슷한 시대에 활동했음을 알 수 있다. 『보한집』에 “이윤보가 처음 과거에 합격하였을 때(李
이윤성 / 李潤成 [종교·철학/유학]
1719년(숙종 45)∼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이방협의 아들이다. 1736년(영조 12) 병조판서 박문수의 천거로 남행선전관에 제수되었다. 1758년에 제주목사로 나아가 수입된 호마의 방목에 힘썼다. 1769년에 양주목사가 되었다. 사후 형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이윤영 / 李胤永 [종교·철학/유학]
1714년(숙종 40)∼1759년(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이색의 14대손, 이기중의 아들, 이태중의 조카이다. 노론의 문사들인 송문흠·김종수·김무택·신소·황경원 등과 교유하며 지은 많은 시문이《단릉유고》·《단릉산인유집》에 실려 있다. 글씨는 예서와 전서
이윤재 / 李允宰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투사·국어학자·사학가(1888∼1943). 한글맞춤법 제정에 참여하였으며, 조선어사전 편찬 등 한글 보급을 통한 민족운동을 하였다. 조선어학회 《우리말 사전》 편찬위원을 맡았고, 진단학회로 국사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사하였다. 저서로는
이윤중 / 李允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선비(?∼?). 이서 후손으로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고향인 강화 송해에서 여생을 보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저서에는《포상만록》이 있다.
이율곡설화 / 李栗谷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이(李珥)에 관한 설화. 율곡의 탄생담, 임진왜란을 예언한 방화정이야기, 퇴계와 대좌한 이야기 등이 전한다. 퇴계와 대좌한 이야기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율곡이 퇴계와 대좌한 일이 있는데, 퇴계는 나이의 고하를 불문하고 제자들에게 절을 하도록
이은 / 李垠 [역사/근대사]
1897년∼1970년. 조선 말기의 왕족.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고종의 일곱째아들, 1900년 8월 영왕, 1907년에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그해 12월 이토(伊藤博文)통감에 의하여 일본에 인질로 잡혀갔다. 1920년 4월 일본왕족 나시모토 맏딸인 마사코(방자)
이은 / 李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81). 1740년 진사, 남평현감을 역임했다. 1759년 정시문과 급제 후에 교리가 되었다. 수찬·승지·이조참의·대사헌·이조참판·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한 후 찬집청도제조를 거쳐 진하 겸 사은정사로 청에 다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