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유민 / 李裕民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지란의 후손, 명로의 증손, 할아버지는 문주, 아버지는 핵, 어머니는 이승효의 딸이다. 1696년(숙종 2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 병조좌랑·부안현감, 홍주목사, 형조참판, 공조판사, 지

  • 이유상 / 李有相 [종교·철학/유학]

    1623(인조 1)∼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계 증손, 할아버지는 정구, 아버지는 소한, 어머니는 이상의의 딸이다. 1642년(인조 20) 사마시를 거쳐, 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지평, 부교리·헌납, 이조좌랑, 이조정랑·응

  • 이유승 / 李裕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5∼?). 이항복 9대손, 아버지는 이계선이다. 대한민국 초대부통령인 이시영의 아버지이다. 1864년(고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좌승지·한성부판윤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중국의 사신을 호송하는 반송사를 맡았고 일본과의 을사늑약을 반

  • 이유신 / 李裕身 [종교·철학/유학]

    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초기 증손, 할아버지는 지성, 아버지는 준상, 어머니는 김이오의 딸이다. 1725년(영조 1) 통덕랑으로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대사간, 여주목사,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이유원 / 李裕元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88). 이계조의 아들이다. 1865년 《대전회통》 편찬 총재관을 지내고,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영의정에 올랐다. 1882년 전권대신으로서 일본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와 제물포조약에 조인하였다. 저서로 《임하필기》·《가오고략》 등이

  • 이유일 / 李惟一 [종교·철학/유학]

    1577년(선조 10)∼미상. 증조부는 이징, 조부는 이척, 부친은 이구익이다. 1601년(선조 34) 신축 생원시에 급제, 1615년(광해군 7) 을묘 알성시 병과 1위로 문과에 급제했다. 인조반정 후에 전랑, 교리가 되었다. 수북 김광현, 창주 윤지경 등과 교우하였

  • 이유장 / 李惟樟 [종교·철학/유학]

    1625년(인조 3)∼1701년(숙종 27). 조선 중기의 문신. 조부는 이진, 부친은 이정발이다. 1657년(효종 8) 이휘일이 내방하여「심경」,「근사록」등을 강론하였다. 문집으로『고산집』이 있는데, 이유장의 증손 이홍진이 간행하였고, 원집 8권, 부록 2권으로 모두

  • 이유태 / 李惟泰 [종교·철학/유학]

    1607(선조 40)∼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서이다. 희릉참봉, 대군사부, 지평, 집의, 공조참의, 이조참의, 우부승지,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초려집≫ 26권이 전한다.

  • 이육사 / 李陸史 [문학]

    항일기의 시인·독립운동가(1904∼1944). 형무소수감번호 ‘이육사’에서 취음한 것이다. 1925년 대구에서 의열단에 가입했고 1927년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었다. 이후 17차에 걸쳐서 옥고를 치렀다. 1930년 1월 3일자 《조선일보》에 시

  • 이윤구전 / 李尹求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58장본이 있고, 사재동(史在東)이 110장본을 소장하고 있다. 고려시대를 배경으로 주인공이 고난을 극복하고 행복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이 작품은 배경설정을 국내로 한 점, 여러 구전설화를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