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운영 / 李運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94). 1759년(영조 35)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며 내외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저서로《옥국재유고》가 있다.

  • 이원광산 / 利原鑛山 [경제·산업/산업]

    함경남도 이원군 차호읍 창흥리에 있는 철광산. 1917년에 자본금 100만원으로 회사가 설립되었고, 1918년부터 철광석의 채굴이 시작되었다. 이곳은 적철광(赤鐵鑛)이 산굴되며 함철품위(含鐵品位)가 45∼60%로 우수한 철광산이다. 철산이 해안에서 불과 2㎞밖에 떨어지

  • 이원구석 / 利原球石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이원군 나흥노동자구에 있는 자갈. 이원구석은 나홍만기슭에 길이 800m, 너비30m에 활등처럼 생긴 구역에 분포한다. 나홍만어구의 양쪽에는 바다기슭을 따라 상부원생대 작현통의 굳은 규암층으로 된 수십미터의 낭떠러지가 있다. 상부원생대에 형성된 규암이 나흥 앞바

  • 이원군 / 利原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 동·남쪽은 동해, 서쪽은 북청군, 북쪽은 단천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8°26′∼128°47′, 북위 40°11′∼40°26′에 위치하며, 면적 447㎢, 인구 6만 4457명(1943년 현재)이다. 1개 읍 3개 면 78개 이로 되어

  • 이원록 / 李元祿 [종교·철학/유학]

    1514(중종 9)∼1574(선조 7). 조선 중기의 문신. 추의 증손, 할아버지는 의무, 아버지는 행, 어머니는 이조의 딸이다. 이조정랑으로 재직 중 을사사화가 일어나 많은 사림이 화를 입자,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를 비판하고 이황·정황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하였다.

  • 이원만 / 利原灣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면과 차호읍 사이에 있는 만. 함경선이 만안(灣岸)을 따라 달리며 남대천이 만으로 흘러든다. 만의 연안에는 함경산맥의 여맥이 뻗어 있어, 취덕산(鷲德山, 1,001m)·마운령(摩雲嶺)·대덕산(大德山, 1,462m)·궐령(蕨嶺) 등의 산지가 높이 솟아

  • 이원배 / 李元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45∼1802). 이재형의 문인으로 경학에 밝아 정조로부터 포상을 받았으며 조정으로부터 여러 관직을 제수받았으나 모두 거절하고 학문에 열중하였다. 문집으로《구암집》이 있다.

  • 이원용 / 李源容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조선체육회 초대이사, 전조선야구대회 심판으로 활동한 체육인. 생몰년 미상. 오성학교(五星學校)와 중앙기독청년회 영어반을 졸업한 야구인으로 오성학교 시절부터 야구선수로서 활약하였다. 1917년 봄에 오성학교와 중앙기독청년회 출신의 야구선수들과 함께 고려야구구락

  • 이원익 / 李元翼 [종교·철학/유학]

    1547(명종 2)∼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문신. 정은 증손, 할아버지는 표, 아버지는 억재, 어머니는 정치의 딸이다. 강서·조충남 등과 교유하였다. 키작은 재상으로 널리 불렸다. 1569년(선조 2)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이듬해 승문원권지부정자로

  • 이원익선생영정 / 李元翼先生影幀 [예술·체육/회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원익의 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이원익은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합격하여 관직에 오른 후 1573년 성절사(聖節使)의 질정관(質正官)으로 중국에 다녀왔으며, 1575년 이후 정언(正言)·헌납(獻納)·사간(司諫) 등을 지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