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용휴 / 李用休 [문학/한문학]
조선후기『탄만집』,『혜환시초』,『혜환잡저』 등을 저술한 문인. 아버지는 이침(李沉)이다. 이잠(李潛)의 조카이며 남인 실학파의 중심이었던 이가환(李家煥)의 아버지이다. 어려서는 작은아버지 이익(李瀷)의 문하에서 배웠다.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이용희 / 李容熙 [역사/근대사]
1811년(순조 11)∼1878(고종 15). 조선 말기의 무신. 자는 공습(公習), 호는 기원(淇園), 본관은 덕수(德水), 시호는 정의(靖毅)이다. 전라우도수군절도사‧경상우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로즈(Roze, P. G.)제
이우 / 李㙖 [종교·철학/유학]
1739년(영조 15)∼1811년(순조 11).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이태화, 부친은 이광정, 외조부는 이재이다. 영남유생 1만여 명이 사도세자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해명하는 상소를 올릴 때 앞장섰다가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도로 유배되었다. 사면된 후에는 이상정의
이우 / 李瑀 [종교·철학/유학]
1542(중종 37)∼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서화가. 원수 아들, 이 동생, 어머니는 사임당신씨다. 1567년 진사시에 합격, 비안현감과 괴산·고부군수를 거쳐 군자감정에 이르렀다. 시·서·화·금을 다 잘하여 4절이라 불렸다. 그림은 초충·사군자·포도 등을
이우재 / 李愚在 [종교·철학/유학]
1765년(영조 41)∼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의천이다. 1804년(순조 4)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808년(순조 8) 외직으로 경상좌도암행어사로 파견되어 경상도를 감찰하고 돌아와 환곡의 폐단을 바로 잡아 혁신할 것, 여러 역을 부과하는 폐단을
이우정 / 李宇鼎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구경 증손, 할아버지는 홍장, 아버지는 익로, 어머니는 조빈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우승지, 대사간, 예조참판,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이우현 / 李禹鉉 [종교·철학/유학]
1738년(영조 14)~1799년(정조 23). 조선 후기 무신. 조부는 이도병, 부친은 이종주이다.1765년(영조 41) 식년시 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4년(정조 8) 서산현감으로 재직 중 고을을 잘 다스린 공로를 인정받아 품계를 올려 받았다. 1789년(정
이우흠 / 李友欽 [종교·철학/유학]
1673년(현종 14)∼1715년(숙종 41) 4월 30일. 조선 후기의 문신‧문장가. 자는 구이(久而), 본관은 덕수(德水), 출신지는 서울이다. 문예(文藝)에 일찍 성취하여 가르치지 않아도 번다하게 꾸미지 않았다. 특히 과거시험용 글인 공령문(功令文)을 정교하고 아
이운사 / 利運社 [경제·산업/산업]
1892년 관민합작의 특권회사로, 전운국에서 설립하였던 해운회사. 주로 세금으로 거둔 곡식을 운반하였으며 민간화물 운송도 담당하였다. 청일전쟁으로 이 회사 소속 선박이 일본군에 징발당하여 일본군 군수물자를 수송하였고, 청일전쟁 이후에는 일본우선주식회사가 이 회사 선박을
이운선전 / 李雲仙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의 구성은 다른 고전소설보다 비교적 단순하다. 전반부는 남녀주인공의 결연과정이 그려져 있는데, 그 결연과정을 점복사상에 의하여 전개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남자주인공을 사모하는 주모의 딸이 남자주인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