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왕직 / 李王職 [역사/근대사]
일제 강점기 이왕가(李王家)와 관련한 사무 일체를 담당하던 기구. 이왕직은 1910년 대한제국황실이 이왕가로 격하됨에 기존의 황실업무를 담당하던 궁내부를 계승하여 설치되었다. 일본의 궁내성에 소속된 기구였다. 이왕직의 이(李)는 조선왕실의 성인 전주 이씨를 지칭하고,
이용 / 李溶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온성현감, 경성현감, 첨정 등을 역임한 무신. 무안대군(撫安大君)이방번(李芳蕃)의 후손이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관북지방에서 33년간이나 돌면서 영흥·북청·경흥·종성·온성·경성 등지의 현감을 지냈고, 중앙으로 올라와서는 첨정을 지내기도 하였다. 1776년(
이용구 / 李容九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친일민족반역자(1868∼1912). 1890년 동학 입교, 러일전쟁 중 일본군을 도왔다. 일진회 명의로 을사조약체결을 지지하는 선언서를 발표했다. 동학출교 후 시천교를 직접 창설했다. 일진회회장으로서 ‘합방성명서’ 등을 발표, 매국행위를 자행하였다.
이용도 / 李龍道 [종교·철학/개신교]
1901년∼1933년. 감리교목사·신비주의자. 황해도 금천 출신. 1915년 개성의 한영서원에 입학, 1928년 협성신학교 졸업, 1930년 전국주일학교연합회의 간사, 1931년 6월에는 감리교의 경성 지방 순회 부흥사로 일하였다. 1933년 6월 3일 조선예수교회가
이용문 / 李容紋 [예술·체육/체육]
대한제국기 이상필과 같이 사궁회(射弓會)를 조직하여 활동한 체육인. 생몰년 미상. 1909년 7월 15일에 이상필(李相弼)과 같이 사궁회(射弓會)를 조직하였다. 활쏘기는 마음이 바르지 않으면 맞지를 않고 안 맞으면 자신이 스스로 무디게 되므로, ‘군자지도(君子之道)’라
이용사 / 理用司 [역사/근대사]
구한말 통리기무아문 내 경리 등을 위해 설치되었던 관청. 1880년 12월 경리와 재용에 관계된 제반사항을 맡아보았다. 설치 당시 이용당상에는 김병덕과 민영익이 임명되었다.
이용숙 / 李容肅 [종교·철학/유학]
1818년(순조 18)∼미상. 조선 말기의 정치가. 1866년(고종 3) 미국상선 제너럴 셔먼호(General Sherman)가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가 황주 삼전면 송산리 앞에 정박하자 역관으로 황주목사 정대식을 수행하여 접견하고 입국의 사유를 물었고, 1876년 4
이용원 / 李容元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문신(1832∼1911). 1890년 예조참판으로서 민씨 척속들이 고종의 왕위선양을 모의하자 이에 항의하다가 흑산도로 유배되었다 1894년 정치개혁으로 풀려났다. 이조판서·법무아문대신·우찬성·중추원일등의관·궁내부특진관 등을 지냈다.
이용의 / 李容儀 [역사/근대사]
1887-미상.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출신지는 전라북도 임실군(任實郡) 둔남면(屯南面) 용정리(龍井里)이다. 1919년 3·1만세운동이 터지자 당시 지방의 유지 이기송(李起松)·오병용(吳秉鎔)·이만의(李萬儀) 등은 거사를 미리 준비하고 3
이용익 / 李容翊 [정치·법제/정치]
1900년대 프랑스와 러시아 차관도입 주도 (1854∼1907). 내장원경으로서 왕실재정 관리를 잘했으며, 화폐개혁을 단행했다. 친러파로 러시아의 용암포 조차권 요구의 승인을 돕고, 일본세력 저지에 힘썼다. 1905년 보성전문학원(고려대학교)을 설립했고, 을사늑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