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연서원 / 伊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매암리에 있었던 서원. 1587년(선조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현종 1) ‘이연(伊淵)’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

  • 이연응 / 李沇應 [종교·철학]

    1818년(순조 18)∼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낙중, 생부는 남연군 이구의 사촌 이화중이다. 1866년(고종 3) 선파유무응제부로 전시에 직부하여 같은 해 별시에서 병과로 급제. 이후 홍문관부수찬·승정원동부승지·이조참의·종정경·이조참판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

  • 이연응증시문서 / 李沇應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효정공 이연응(李沇應)에게 '효정(孝貞)'이라 시호를 고쳐주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자혜애친왈효 청백자수왈정'이라 적어 효정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 이열비 / 爾列比 [지리/인문지리]

    신라와 가야의 국경지대에 있었던 지명. 『일본서기(日本書紀)』 게이타이기(繼體紀) 8년(514)조에 나오는 지명이다. 그 기록에 따르면 6세기 초에 반파(伴跛), 즉 고령의 대가야는 이열비와 마수비(麻須比)에 성을 쌓아 마차해(麻且奚)ㆍ추봉(推封)에까지 뻗치고 사졸과

  • 이염 / 李琰 [종교·철학/유학]

    1538(중종 33)∼1588(선조21). 조선 중기의 학자. 암 후손이다. 조식의 문하생이며, 평소에 최영경·하항·유종지 등 동인들과 친교를 맺고 있었다. 특히『대학』의「성의장」은 몸소 실천하여 체득하려 노력하였으며, 실제로 효우가 지극하여 부모를 섬김과 형제를 사랑

  • 이엽 / 李爗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9∼1788). 1777년(정조 1) 증광문과 병과급제 후 부사과·선조보감찬집랑·전적 등을 거쳐 공조정랑에 이르렀다. 문장·재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특히《주역》에 조예가 깊고, 실학사상에도 관심이 많았다.

  • 이영 / 李栐 [종교·철학/유학]

    1670년(현종 11) 10월 19일∼1735년(영조 11) 5월 5일.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이함, 조부는 이시명이다. 부친은 이융일, 모친은 김초의 딸이다. 부인은 성문하의 딸이다. 백부 이현일이 별세한 후에는 가학이 실추될까 염려되어 두 형과 함께 학문에

  • 이영 / 李泳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시백의 증손, 할아버지는 흔, 아버지는 상윤, 어머니는 허계의 딸이다. 큰아버지 상주에게 입양되었다. 1674년(현종 15) 음서로 후릉참봉이 되고, 곧이어 예빈시봉사를 거쳐 군자감직장을 역임하였다. 그뒤

  • 이영민 / 李榮敏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조선야구협회 초대 이사장, 아시아야구연맹 한국대표 등을 역임한 체육인. 1905∼1954. 경상북도 출생. 배재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학창시절에 전 조선축구대표의 일원으로 일본·상해 등지에 원정하여 활약하였으며, 그 뒤 야구로 전향하여

  • 이영범 / 李榮範 [역사/근대사]

    1909-1961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남도 나주군(羅州郡) 공산면(公山面)이다. 1926년 6월 광주고등보통학교(光州高等普通學校)에 재학하면서 비밀리에 광주독서회를 조직하였으며, 그해 11월 3일에 일어났던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에도 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