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한문학 총 89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한문학
당음 / 唐音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서당에서 익히던 한시 교재. 1권 1책. 목판본. 우리의 한문독음은 중국과 달라서 사성(四聲)이 구분되지 않는다. 그래서 표점을 찍어 평측을 따로 익혀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에는 ●표를, 평측에 통용되는
대 / 對 [문학/한문학]
한문문체의 하나. 문답형식으로 진행되는 한문문체이다. 대부분 상대방을 힐난하는 문 제를 먼저 가정하여 전제해놓고 그를 반박하는 자기의 의사를 토로하는 것이 주된 형식이 된다. 그러므로 같은 대이지만 국가시험인 대책(對策)과는 마땅히 구분이 되어야 한다. 대는 중국 고대
대가문회 / 大家文會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유몽인(柳夢寅)이 엮은 고문선집(古文選集). 21권 11책. 목판본. 『대가문회』는 『좌전 左傳』(4권)·『국어 國語』(2권)·『전국책 戰國策』(2권)·『사기 史記』(3권)·『한서 漢書』(3권)·『한문 韓文』(4권)·『유문 柳文』(3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견훤기고려왕서 / 代甄萱寄高麗王書 [문학/한문학]
927년(경순왕 1)최승우(崔承祐)가 후백제왕 견훤(甄萱)을 대신하여 지어 고려 왕건(王建)에게 보낸 서신. 927년(경순왕 1) 최승우(崔承祐)가 후백제왕 견훤(甄萱)을 대신하여 지어 고려 왕건(王建)에게 보낸 서신. 『삼국사기』 권50 견훤열전, 『고려사』 세가 권
대관재난고 / 大觀齋亂藁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심의(沈義)의 시문집. 권응인(權應仁)이 편찬한 것을 1577년(선조 10) 외손 윤대승(尹大承)이 성주(星州)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카 사순(思順)의 「대관재난고서 大觀齋亂藁序」, 안처성(安處誠)의 「대관재집찬 大觀齋集贊」, 홍언필(洪彦弼)의 「
대관재몽유록 / 大觀齊夢遊錄 [문학/한문학]
조선 중종 때에 심의(沈義)가 지은 한문소설. 「대관재몽유록」에서 그 특색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시점은 꿈속에서나 꿈을 깬 뒤에도 일인칭 자기 체험고백의 화자(話者)로 일관되어 있다. 몽유자는 서술자이며 작자 심의 자신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현실세계와
대동속악부 / 大東續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치복(朴致馥)이 지은 악부시. 이성계(李成桂)의 할아버지인 도조(度祖)가 섬으로 이사하였던 사실을 읊은 「사해가(徙海家)」부터 시작하여, 조선건국과 함께 조선이라는 국호를 정하게 된 내력을 읊은 「정조선(定朝鮮)」, 세종 때의 태평을 노래한 「해주서(海州
대동시사 / 大東詩史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민족운동가·교육자 유인식(柳寅植)의 시화집(詩話集). 『대동시사』의 내용은 태조의 「등백운봉(登白雲峰)」으로부터 시작하여 홍석주(洪奭周)의 「영사(詠史)」를 끝으로 고려 말부터 조선 말까지 302명의 시 445수를 편년체로 싣고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비
대동시선 / 大東詩選 [문학/한문학]
장지연(張志淵)이 편찬한 역대 한시선집(漢詩選集). 12권. 그는 처음에 이 책의 이름을 ‘대동풍아(大東風雅)’라 하였다가 ‘풍아’ 두 자가 마음에 걸려 ‘시선’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그리고 『대동시선』의 후반에 『풍요삼선』 이후의 위항시인(委巷詩人)을 선입하여 처리하
도은선생집 / 陶隱先生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학자 이숭인(李崇仁)의 시문집. 보물 제1465호. 『고려명현집』(영인본)의 내용을 보면, 권1에는 사(辭) 1편과 오언·칠언고시 30제(題)로 모두 31제가 있고, 권2에는 오언·칠언율시로 154제, 권3에는 절구 152제로 시만 모두 336제이고 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