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총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주지주의 / 主知主義 [문학/현대문학]
감각과 정서보다는 지성을 중요시하는 창작 태도 또는 그 경향. 한국에서 주지주의를 이론면에 본격적으로 도입한 비평가는 최재서이고, 비평과 더불어 작품으로 실천한 시인은 김기림이다. 1930년대에 정지용, 이양하 등에 의하여 시작된 주지주의는 김광균, 김현승 등으로 이어
주체무용 / 主體舞踊 [예술·체육/무용]
‘주체문예이론’에 입각한 북한의 무용양식.무용. 주체의 창작이론에 입각해서 무용예술이 창조·확립된 1970년대 이후의 북한의 춤을 총칭하는 용어이며, 예술의 사상성과 북한식 독자성을 강조하며 사용되고 있다. 북한의 무용은 여타 예술장르와 마찬가지로 주체문예이론에 입각한
죽마계 / 竹馬契 [역사/근대사]
1940년 일본 동경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이봉하(李鳳夏), 김덕순(金德順), 안종식(安鍾植), 이해룡(李海龍), 김홍기(金泓沂), 구철회(具喆會), 이일동(李一東) 등이 표면적으로 합법을 위장하기 위해, 우리 나라 향촌 전래의 계(契)라는 조직을 빌려, 계의
죽사장 / 竹笥匠 [경제·산업]
대오리체를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죽사장은 대오리상자를 만드는 장인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대오리체를 만드는 죽사장을 지칭한다. 국장을 비롯한 가례, 책례, 예장, 상례 등에서 소로장을 비롯한 각종 장인들이 다소 입자가 굵은 재료나, 그 가루를 물에 갠 것
죽소장 / 竹筲匠 [경제·산업]
죽소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 소는 국장에서 기장, 콩, 보리 등의 곡식을 담던 명기로 해죽을 엮어서 만들며 주척을 이용하였다. 입구의 원지름을 4촌 5푼, 허리의 원지름은 7촌 5푼, 높이는 8푼, 바닥의 원지름은 5촌 5푼이었으며 곡식을 3되 담을 수 있
죽지사 / 竹枝詞 [문학/한문학]
악부시의 일종. 죽지란 원래 파유(巴歈)지역 일대에 유포된 민가(民歌)의 일종이었다. 이 죽지사는 작자의 순수 서정이 아니라 건평이란 특정 지역의 민가와 민풍을 근거로 지어졌다. 읊조리는 시가 아니라 가창(歌唱)을 전제한 노랫말로 지어졌다. 개별작품의 양식은 7언절구
죽책 / 竹冊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왕세자와 왕세자빈을 책봉하고 존호를 올릴 때 그에 관한 글을 대쪽에 새겨 엮은 문서. 왕세자와 왕세자빈을 책봉할 때에는 국왕의 교명과 함께 책인(冊印)을 내려준다. 죽책에 쓴 글을 죽책문이라 하는데, 왕세손을 책봉할 때에도 왕세자의 경우와 같이 죽책이 만들어
중개업 / 仲介業 [경제·산업/산업]
일정한 수수료를 받을 목적으로 중개·알선 등 일정한 방법과 절차를 통해 거래당사자간에 일정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업. <상법>에 따르면 넓은 뜻의 중개업은 유가증권의 매매, 해상보험·해상운송의 거래관계의 행위와 주선업(周旋業)에 있어서 위탁매매업·운송주선업·준위
중문 / 重文 [언어/언어/문자]
두 개의 문장이 대등한 관계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문장. 국어의 중문은 주로 접속어미 ‘―고’와 ‘―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나머지 접속어미 ‘―으면, ―으니, ―아서, ―으니까, ―라도, ―자’ 등은 종속절을 만드는 어미이므로 복문(複文)을 만드는 데 쓰인다. 그리고
중부방언 / 中部方言 [언어/언어/문자]
우리 나라 중부지방에서 사용되는 방언. 어휘에 들어서는 더구나 중부방언권이 몇 조각으로 나누어질지 모를 정도로 그 차이가 심하다. 따라서, 중부방언권 전지역에 다 해당하는 중부방언의 특징이란 극히 드물고, 또 그러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중부방언에만 있는 특징이기보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