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신원설화 [문학/구비문학]

    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의 그 원이나 한을 살아 있는 다른 사람이 풀어 준다는 설화. 대체로는 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이 뒤에 원령(怨靈)이 되어 살아 있는 다른 사람에게 나타나 그에게 자신의 원한을 풀어 달라고 의탁하게 되고, 몇 차례인가의 시행착오를 겪은 뒤에 비로소

  • 신유복전 / 申遺腹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이 작품은 고전소설 「낙성비룡(洛(落)城飛龍)」과 비슷한 내용이다. 무대가 중국 명나라에서 우리나라 조선시대로 바뀌었다는 점에서 「낙성비룡」의 개작본으로 추측된다. 아내가 남편을 출세시키는 내용은 고전소설에서 찾아볼

  • 신유한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신유한에 관한 설화. 미천한 처지에서 태어났으면서 시로 널리 이름을 떨쳤다는 것을 기본내용으로 삼아 흥미로운 삽화를 연속시켰다. 문헌에는 오르지 않고, 구전을 통해서 사실과는 다른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구전에 의하면 신유한은 서자이고 홍길동(洪吉童)

  • 신이담 [문학/구비문학]

    초인간적인 행위를 내포하고 있는 이야기를 다룬 설화. 일반적으로 말하는 신화나 전설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이 신이담은 다시 기원담(起源譚)·변신담(變身譚)·응보담(應報譚)·초인담(超人譚)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기원담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남매의

  • 신자하시집 / 申紫霞詩集 [문학/한문학]

    1907년 김택영(金澤榮)이 편찬한 신위(申緯)의 시선집. 6권 2책. 신식활자본. 신위의 시 4,000여 수 가운데 900여 수를 뽑아 편찬한 것으로 중국 남통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택영의 서문과 중국인 장건(張謇)의 제사(題辭)가 있으며, 권말에 신위의 연보가

  • 신재효 / 申在孝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판소리 이론가·개작자·후원자. 전라북도 고창 출생. 아버지 신광흡(申光洽)은 경기도 고양 사람으로 한성부에서 직장(直長)을 지내다가 고창현의 경주인(京主人)을 하던 선대의 인연으로 고창에 내려와 관약방(官藥房)을 하여 재산을 모았다. 어머니는 경주 김씨로

  • 신중타령 [문학/구비문학]

    동해안 지역 세습무들이 오구굿에서 부르는 무가(巫歌). 청춘에 과부가 되지 말라는 액막음을 하기 위한 무가이다. 시집살이 서사민요가 무가로 수용되어 변모된 자료라고 생각된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친척집으로 전전하며 눈치밥을 얻어 먹으며 자란 한 여인이 시집을 간 직후

  • 신체시 / 新體詩 [문학/현대문학]

    개화기시가(開化期詩歌)의 한 유형으로 근대시에 이르는 과도기적 시가 형식. '신시(新詩)’라는 명칭과 함께 통용되어왔으며, 그 전대의 고시가(古詩歌)나 애국가 유형, 개화가사 및 창가에 대한 새로움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신체시의 기점은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 신한첩 / 宸翰帖 [문학/고전산문]

    왕과 왕비에게 받은 한글 편지를 후손들이 모아서 만든 서간집. 현재까지 소개된 것으로는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과 『숙휘신한첩(淑徽宸翰帖)』이 있다. 전자는 효종의 제2공주 숙명공주가, 후자는 제3공주 숙휘공주가 생전에 왕과 왕비들로부터 받은 편지를 그 후손들이 모아

  • 신행가 / 新行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필사본. 형식은 4음보를 1구로 계산하면 전체 129구이며, 2음보를 1구로 계산하면 240구이다. 3·4조와 4·4조가 주축이며, 2·4조, 3·5조, 5·4조 등도 아주 드물게 나타난다. 친정어머니가 신행가는 딸에게 시가의 풍속을 잘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