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신선설화 [문학/구비문학]
신선(神仙)과 방사(方士)·은사(隱士) 혹은 이와 관련된 방술(方術)에 관한 이야기. 신선 사상은 본래 중국에서 발전된 장생불사(長生不死)의 사상으로, 중국에서는 겸선천하(兼善天下)의 유학사상과 독선기신(獨善其身)의 노장사상(老莊思想) 두 계통이 발달해 왔다. 이 가운
신설부 / 新雪賦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성간(成侃)이 지은 부(賦). 첫눈이 오는 것을 묘사하는 과정을 통해 문학하는 자세를 심각하게 검토한 글이다. 작자와 나그네가 대화하는 대화체 형식으로 되어 있다. 『진일유고(眞逸遺稿)』 권4, 『동문선』 권3 등에 수록되어 있다. 「신설부」는 크게 3단으
신세타령 [문학/구비문학]
신세를 한탄하면서 부르는 민요. 민요는 백성들의 건강한 삶을 노래하는 한편, 자신들의 서러운 심경과 절박한 실정을 노래로 드러내는 본질을 지녔으므로, 거의 모든 종류의 민요사설에서 「신세타령」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민요는 가장 절실한 현실의 삶 그 자체를 노래하기 때문
신소설 / 新小說 [문학/현대문학]
갑오개혁 이후부터 현대 소설이 창작되기 전까지 창작된 소설. 신소설은 시대적 명칭이며 동시에 이 명칭은 문학용어로 정착되어 이제까지의 문학사에서 통용되고 있는 데, 때로는 역사적인 의미를 더 강조하거나 발생한 시대의 문화적 특성을 감안하여 ‘개화기소설’로 부르는 경우도
신숙주부인전 / 申叔舟夫人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신소설. 이 소설은 이기(李墍)의 『송와잡설(松窩雜說)』이 근거가 된 듯하다. 『조선왕조실록』이나 『신씨세보』에 의하면, 사육신의 옥사(1456) 5개월 전에 윤씨 부인이 이미 세상을 떠났으며, 이때 신숙주는 중국에 사신으로 가 있어 부인의 부음을 알
신실시행가 / 信實施行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작자는 김주희(金周熙)라는 주장도 있으나 자세한 고증이 요구된다.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 및 국문본 2종으로 간행되었으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3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신실시행가」와
신심편 / 信心篇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하여 목판본으로 간행된 『용담유사 龍潭遺詞』 제5권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김주희라는 주장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본 2종이 있다. 이 작품은 「신심
신아리랑 / 新阿里郎 [문학/고전시가]
전통 아리랑이 신민요 형태로 변형되어 불린 아리랑의 한 종류. 영화 「아리랑」(1926년)이 출현한 이래 다양한 형태의 신민요가 대거 등장하였다. 본격적인 노래 명칭으로서의 「신아리랑」이 나타난 것은 1930년 6월이다. 『조선민요 아리랑』에는 「신아리랑」과 더불어 「
신오위장본 / 申五衛將本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판소리 사설 작가·이론가 및 연출가를 겸했던 신재효(申在孝)의 가집(歌集). 6책. 필사본. 이 책에는 신재효가 개작한 판소리 사설, 곧 동창춘향가(童唱春香歌)·여창춘향가(女唱春香歌)·남창춘향가(男唱春香歌)로 된 「춘향가」, 「심청가(沈淸歌)」·「적벽가(
신옹고 / 信翁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민창혁(閔昌爀)의 시문집. 8권 4책. 필사본. 권두에 이계(李堦)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권1∼5에 시 471수, 권6에 소(疏) 15편, 치제문(致祭文) 8편, 고유문 26편, 축문 4편, 표(表) 4편, 권7에 교문(敎文) 5편, 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