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총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조선어음만국음성기호표기법 / 朝鮮語音萬國音聲記號表記法 [언어/언어/문자]
1935년 정인섭이 고안한 조선어음의 국제음성기호 표기법. 국제음성기호는 1886년에 창설된 국제음성학협회가 1888년에 발표한 것으로, 세계의 모든 언어를 정밀하게 표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국제음성기호는 국제음성문자, 국제음성자모, 국제음성학기호, 국제
조어법 / 造語法 [언어/언어/문자]
단어의 구성 규칙. 단어의 하위단위인 형태소(形態素)들이 결합하여 단어를 구성하는 방식이 곧 조어법(word―formation)이다. 조어법을 다루는 분야를 조어론이라 하는데 굴절론(屈折論)과 함께 형태론의 한 하위류를 이룬다. 형태론은 다시 통사론(統辭論)과 함께 문
조어업 / 釣漁業 [경제·산업/산업]
각종 조어구(釣漁具)를 사용하는 어업의 총칭. 조어구는 일반적으로 수산동물을 미끼로 유인하여 조침(釣針)에 걸리게 하는 어구라고 할 수 있다. 조어업은 일본조어업(一本釣漁業)과 연승어업(延繩漁業)으로 나누어진다. 일본조어업에 사용되는 조구류(釣具類)는 조어구를 조작하여
조정 / 漕艇 [예술·체육/체육]
정해진 거리에서 여러 명으로 이루어진 각 보트의 팀이 노(櫓)를 저어 속도를 겨루는 수상경기. 정하여진 거리를 여러 명으로 이루어진 각 보트의 팀이 노를 저어 도착하는 순서에 따라 순위가 정하여진다. 주로 호수·하천·바다 등에서 맑은 공기와 함께 자연을 접하면서 실시하
조천사 / 朝天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명나라에 보내는 조선의 사절 또는 그 사신의 총칭. 조천사란 천조(天朝)인 중국에 조근(朝覲)하는 사행이라는 뜻이다. 조천사는 해마다 정례사행과 임시사행으로 나누어 파견하였다. 정례사행으로는 네 번이 있었다.
조칙 / 詔勅 [문학/한문학]
한문문체의 하나. 대개 왕의 말을 조(詔), 황후·태자의 말을 영(令)이라고 한다. 이들이 문서로 발포하는 것을 총칭하여 조령이라 한다. 고(誥)·조(詔)·영(令)·유(諭)·새서(璽書)·교(敎) 책명(策命) 등은 명칭은 비록 다르지만 모두 조령에 속한다. 우리 나라는
조화정부 / 造化政府 [종교·철학/신종교]
강증산(姜甑山)이 지난 세상의 잘못들을 공정하게 바로잡늗다는 증산교의 사상. 이 사상의 배경에는 사자(死者)도 생자(生者)의 일원이 된다는 선조사상과 땅에서의 다스림이 하늘의 것이라는 정치사상이 깔려 있다. 증산교도들은 조화정부가 하는 일이 앞으로 올 인존시대(人尊時代
족징 / 族徵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군정의 폐해. 국법으로는 생활의 곤궁으로 군역을 피하여 도피한 자가 10년이 경과해도 행방불명인 경우 면역조처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규정을 무시하고 도피자의 미납분을 족징이라 하여 그 친족에게 대신 군포를 납부하게 하던 일을
존재사 / 存在詞 [언어/언어/문자]
품사의 하나. 동사·형용사와 함께 활용을 하는 용언으로서, ‘존재’나 ‘소유’의 뜻을 나타내는 ‘있다, 없다, 계시다’가 이에 속한다. 존재사는 ‘사물의 존재여부를 표시’한다는 의미적 범주로도 독자성을 가지지만, 특히 그를 동사나 형용사와 따로 나누어 세우는 근거는 활
종교학 / 宗敎學 [종교·철학]
종교현상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현대 경험과학. 종교학은 '하나만 아는 것은 아무 것도 모르는 것이다'라고 주장한 뭘러의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는 종교학이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학문분야임을 나타내 주는 말이다. 19세기 말에 종교학이 탄생하였다. 우리나라는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