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댐 / dam [경제·산업/산업]
계곡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저수·취수·토사저지 등의 목적으로 축조하는 공작물의 총칭. 목적에 따라 저수댐·취수댐 및 사방댐 등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댐이라 하면 저수댐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댐의 특수한 형태로서 토사유출을 저지하는 사방댐 외 광산에서 광물을 제련
댕강나무 / Abelia mosanensis T. CHUNG. [과학/식물]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평안남도 맹산과 성천지역에서 자라며 서울 근처에서도 잘 자라는 특산종이다. 높이는 5m까지 자라며 밑에서 많은 줄기와 가지를 내어 둥근 모양을 이루는 나무이다. 새로 자란 가지는 붉은 것이 특징이고, 줄기에는 6줄의 홈이 패어 있다. 잎은
덕구산 / 德九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과 강릉시 왕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09m.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태화실산(太花實山, 1,010m), 서쪽에 사달산(1,169m)·노추산(老秋山, 1,322m), 남쪽에 백준산(白俊山, 1,067m), 동쪽에
덕구온천 / 德邱溫泉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덕구리에 있는 노천온천(露天溫泉). 지질은 편상화강암이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천질(泉質)은 무미·무색·무취의 철천(鐵泉)이다. 피부병·신경통·당뇨병·소화불량·빈혈 등에 효과가 있으며, 수소이온농도(pH) 9.03이다. 온천공(溫泉孔)은 모두 자연
덕동대추나무 / 德洞─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사동구역 덕동리에 있는 대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9호. 대추나무는 덕동리로부터 약 1.5㎞ 정도 떨어진 이현부락의 대추밭 가운데 있다. 대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석회암지대에 생긴 산림 밤색 토양이고 자갈이 보통 정도로 섞인 메흙이다
덕물도 / 德勿島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도(德積島)의 옛 이름. 신라 태종무열왕 때 나당연합에 의하여 당나라 소정방(蘇定方)이 천리에 뻗친 전선을 이끌고 서해를 건너왔을 때, 신라에서 태자 법민(法敏)을 보내어 전선 100척을 거느리고 나아가 영접한 곳이 바로 이곳으로서, 지금의 덕적면
덕산도립공원 / 德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과 서산시 해미면에 걸쳐있는 도립공원. 덕산(德山)은 산 이름이 아니고 덕산면의 덕숭산과 수덕사, 온천, 윤봉길(尹奉吉)의 유적, 사당 등을 중심으로 가야산 일대에 지정된 도립공원의 명칭이다. 덕산도립공원에는 국가지정문화재 5점, 지방지정문화재 4
덕산서원 / 德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상석리에 있는 서원. 1894년(고종 31)에 금릉·선산 지역 유림들의 공론으로 최효원(崔孝源, 1742∼1795)과 최장간(崔章幹, 1763∼1812) 2인을 향사하기 위해 덕산서원을 세우기로 결의하였지만 창건하던 중에 동학농민전쟁이 일어나 이
덕산온천 / 德山溫泉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에 있는 온천. 덕산온천은 1917년 일본인 안정(安井)에 의하여 처음으로 탕을 이용한 온천으로 그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는 온천공의 수가 42공이며, 1일 채수량이 9,370㎥에 이른다. 온천의 수온은 최고 47.7℃이고, 수질은 약알카리
덕수리불미공예 / 德修里─藝 [예술·체육/공예]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덕수리에서 쇠붙이를 녹이고 거푸집에 부어 굳히는 형태의 주물공예.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12호. ‘불미’는 풀무의 제주도 방언이다. 제주도 주물공예의 형태는 그 규모나 방법에 따라 손풀무와 골풀무로 나누어진다.전자는 땅바닥에 장방형으로 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