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술 나오는 샘 [문학/구비문학]

    샘에서 저절로 술이 나왔다는 내용의 설화. 우리나라 몇 군데에 이 설화의 증거물이 실화처럼 전해 오고 있다. 술은 기호품으로 공짜 술이 생기기를 바라거나, 마셔도 마셔도 마르지 아니하는 술이 나오는 기적의 샘물을 소원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이 소원대로 전에는 술 나오

  • 숫자요 [문학/구비문학]

    숫자를 가지고 엮어나가는 민요. 어희요(語戱謠)의 일종으로, 동요 속에서 특히 발달했으며 질과 양이 풍부하다. 「숫자요」의 기원은 오래일 것이나 구체적인 기록은 「춘향전」의 ‘십장가(十杖歌)’에서 보인다. 「숫자요」는 흔히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하나는 단순한 숫자를

  • 숭양기구전 / 崧陽耆舊傳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김택영(金澤榮)이 지은 전기집(傳記集). 5권 2책. 활자본. 1896년에 간행되었다. 1903년에 다시 개정하고 간행되었다. 1920년에 증보 산삭하여 『중편한대숭양기구전(重編韓代崧陽耆舊傳)』으로 재차 간행되었다. 저자의 서문과 이건창(李建昌)·이응익(

  • 스님과 상좌설화 [문학/구비문학]

    스님과 상좌 사이에서 생긴 일을 내용으로 한 설화. 설화 유형으로 스님과 상좌 사이의 관계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전자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에 속하며, 후자는 소담(笑譚)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한다. 신이담에 속하는 유형은 초인적

  • 습재시집 / 習齋詩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권벽(權擘)의 시집. 4권 1책. 목판본. 1608년(선조 41) 아들 필(韠)이 편집하고, 충청감사 최기(崔沂)와 공주목사 허균(許筠)의 도움을 받아 초간본을 간행하였으며, 그 뒤 1653년(효종 4) 후손 집(諿)이 공주목사로 있을 때 다시 보판

  • 승가타령 / 僧歌打令 [문학/구비문학]

    1723년경에 남철이 지은 연정가사. 1723년(경종 3)경에 도사(都事)와 참판(參判)을 지낸 남철이 소년 시절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을 사모하여 지은 연정가사이다. 고려대학교 소장본 『악부(樂府)』에 수록되어 전한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위항 시인인 추재 조수삼(

  • 승답가 / 僧答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정조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송여승가(送女僧歌)」(승가)에 대한 답가이다. 3(4)·4조로서 모두 82구이다.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이 남철의 연정을 호소함에 은근히 거절하는 형식으로 노래하였다. 여승이 자기에게 보내온 뜻밖의 편지사연에 대답하되, 어버이

  • 승원가 / 僧元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후기에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지은 불교가사. 필사본. 전편 405구. 이두문자 표기의 특이한 가사이다. 그 내용은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하는 덧없고 숙명적인 인생들은 세상잡사를 잊고 탐욕을 벗어나 부처님에게 귀의하여 예불염불(禮佛念佛)로써 수도정진하여 서방정

  • 시가 / 詩歌 [문학/고전시가]

    원제명 미상의 가곡가집. 김천택이 편찬한 무신본(戊申本) 『청구영언』(1728)을 저본(底本)으로 삼아 증보·개편한 18세기 중반(1746년 추정)의 가곡가집이다. 수록 작품은 악곡별로 가곡(시조) 719수를 수록하고, 가창가사 「어부사」가 수록되어 있으며, 말미에 「

  • 시가요곡 / 詩歌謠曲 [문학/고전시가]

    편자·연대 미상의 시조 가집(歌集). 1책(총 28장). 순국문 필사본. 수록된 시조작품은 146수이며, 곡목별 편차를 지니고 있어 작품간에 분별이 잘 되어 있다. 시조의 곡목은 ‘여창우됴쳐치·듕허리·막ᄂᆡ·○자지난엽·밤얏자지난엽·계면쳣치·듕허리·막ᄂᆡ·죤자지난엽·농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