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수향기 / 睡鄕記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남효온(南孝溫)이 지은 한문작품. 몽유록계(夢遊錄系)작품으로 『추강집(秋江集)』 권3 및 『생육신집』 권7에 실려 있다. 작품의 말미에서 김종직(金宗直)은 「수향기」는 한퇴지(韓退之)의 「모영전(毛穎傳)」과 왕적(王積)의 「취향기(醉鄕記)」의 아류(亞流)라

  • 수헌유고 / 秀軒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 저자 미상의 시문집. 4책. 필사본. 저자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알 수 없으나 수창한 시로 보아 영·정조대의 인물로 추정된다.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필사의 경위를 알 수 없다. 『수헌유고』의 제1책과 제2책 일부는 시, 제2책의 후반부와 제3·4책은 역

  • 숙녀지기 / 淑女知己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3권 3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지기지우(知己之友)를 맺은 여성들이 서로의 위기를 구원해주는 내용이다. 고전소설에서 규방 안의 화목이나 처첩간의 불화에 대한 교훈으로 여자끼리의 화목을 다룬 예는 있으나, 여자를 주인공으로 하여 이들의

  • 숙빈묘전배감회시 / 淑嬪廟展拜感懷詩 [문학/고전시가]

    1743년(영조 19) 6월 12일 영조가 숙빈묘(淑嬪廟)를 전배하고 직접 짓고 쓴 시.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1743년(영조 19) 6월 13일 기사에 의하면 이날 영조는 선조의 후궁인 인빈김씨(仁嬪金氏)의 사우에 거둥하고, 해조(該曹)에 명하여 선조의 생부(生父

  • 숙영낭자전 / 淑英娘子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본. 필사본계는 주변인물의 이름이나 신분이 다른 점, 선군이 낭자를 찾아갈 때 부모에게 사유를 알린 점, 낭자의 비통한 장례가 거행되는 점, 선경의 못 속에서 낭자가 재생해 나오는 점, 상소 사건이 없다는 점 등에서 목판본계

  • 숙영랑앵련랑신가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함흥 지역 병굿에서 구연되었던 서사무가(敍事巫歌). 1926년 당시 함경남도 함흥군 운전면 본궁리에서 김쌍돌이 무녀가 구송한 것을 손진태(孫晋泰)가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수록하였다. 자손이 병이 났을 때 구연하는 무가인데, 이 무가의 주인공

  • 숙조역사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와 복위 사건을 소설화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민비폐출사건을 소설화한 것으로, 인현왕후의 덕행을 기리고 장씨의 간악함을 징계하려는 것이 작자의 주된 의도로 보인다. 작품의 대부분이 인현왕후

  • 숙창궁입궐일기 / 淑昌宮入闕日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반궁체 순한글 흘림체로 쓰여져 있다. 필사연대나 작자를 추단하기는 어려우나, 글의 내용으로 미루어보아 풍산홍씨(豊山洪氏) 가문, 특히 정조 때의 세도가였던 홍국영(洪國榮) 일가의 인물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에는

  • 숙향촌 / 宿香村 [문학/한문학]

    고려 명종 때 김극기(金克己)가 지은 한시. 오언고시(五言古詩)로, 『동문선』 권4에 실려 있다. 김극기는 무신란 후인 명종 때 잠시 벼슬한 적이 있으나 불우하게 지내면서, 농민과 가까운 위치에서 농촌생활을 다룬 시를 개척하였는데, 「숙향촌」은 그러한 작품의 대표적인

  • 순오지 / 旬五志 [문학/한문학]

    1678년(숙종 4) 홍만종(洪萬宗)이 지은 잡록. 『순오지』의 상권에는 고사일문(古史逸聞)·시화·양생술, 하권에는 유현·도가·불가·삼교합론(三敎合論)·문담·문집·별호·속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따로 제목이 붙여져 있지는 않다. 그러나, 하나의 단락을 시작하고 맺을 때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