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옥당백부 / 玉堂栢賦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인로(李仁老)가 지은 부(賦). 『동문선』 제2권에 실려 있다. 이인로가 한림원(翰林院)에 들어가니, 푸른 수염 난 군자(蒼髥君子)인 잣나무가 한그루 서 있는데, 여윈 학이 날려는 듯, 늙은 용이 일어나는 듯하였다. 본래 한림원은 신선부(神仙府)라고 일

  • 옥도 / 玉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옥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5°59′, 북위 34°35′에 위치하며, 장산도에서 서북쪽으로 5㎞ 지점에 있다. 면적은 4.76㎢, 해안선 길이는 16㎞이다. 인근에 있는 기좌도(箕佐島)·도초도(都草島)·장산도(長山島)·하의도(荷衣島) 등의 큰

  • 옥도 / 玉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옥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01′, 북위 34°19′에 위치한다. 상조도(上鳥島)에서 북쪽으로 0.1㎞, 진도읍에서 서쪽으로 25㎞ 지점에 있다. 면적은 1.21㎢이고, 해안선 길이는 7.5㎞이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20

  • 옥동천 / 玉洞川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구운산(九雲山, 1,346m)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영월군 김삿갓면에서 남한강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 길이 50.7㎞. 유역면적 502.7㎢. 구운산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태백시와 상동읍의 경계를 이루고 칠랑마을에서 함백산(咸白山, 1,

  • 옥란기봉 / 玉鸞奇逢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낙질본. 국문 필사본. 원본은 나손서실(羅孫書室)에 소장되어 있으며, 권1·2·4만 있는 낙질이다. 이 필사본은 1918년회동서관(匯東書館) 발행의 활자본 「옥란빙(玉鸞聘)」의 선행본으로 보인다. 활자본 「옥란빙」은 9회 장회(章回)를 나

  • 옥란빙 / 玉鸞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필사본·활자본. 이 작품은 일부다처 생활에서 벌어지는 비극을 엮어 놓은 가정소설이다. 남자주인공 진숙문이 석부인을 먼저 취하고, 전혀 마음에도 없는 유씨를 황제의 명에 의하여 재취하는 것은 같은 쟁총형(爭寵型) 가정소설에서의 일

  • 옥랑자전 / 玉娘子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활자본. 여주인공 옥랑(玉娘)의 열행(烈行)을 그린 윤리소설이다. 이 작품의 줄거리는 사실상 영흥부사가 시행한 심문의 기록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 일관성 및 사건의 현실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사법(司法)

  • 옥련산 / 玉蓮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부전군과 양강도 풍서군 경게에 있는 산. 옥련산의 높이는 2,164m이고 부전고원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북쪽에는 차일봉(遮日峰, 2,506m)·백산(白山, 2,379m), 동쪽에는 금패령(禁牌嶺, 1,676m), 서남쪽에 부전령(赴戰嶺, 1,445m)이 있다.

  • 옥루몽 / 玉樓夢 [문학/고전산문]

    19세기에 남영로(南永魯)가 지은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한문 필사본·국문 활자본·한문현토 활자본. 이 작품은 64회의 회장체(回章體)로 된 소설로서, 「구운몽」 분량의 3배나 되는 대장편이다. 조선 후기에 가장 많은 인기를 모은 소설 가운데 하나이다. 이 작품은 구성

  • 옥루연가 / 玉樓宴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가사. 총 863구의 장편 서사적인 가사이다. 내용 중 ‘사·백·년·종사경(宗社慶)이 성자신손(聖子神孫) 계계(繼繼)하사’, ‘오늘날 술을 깨니 호무백년(胡無百年) 운(運)이로다.’ 등의 구절로 보아 대략 영조·정조 시대의 작품인 듯하다. 작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