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전적 총 1,57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전적
태상감응편도설언해 / 太上感應篇圖說諺解 [언어/언어/문자]
1852년(철종 3)에 중국의 도교경전 『태상감응편도설』을 한글로 번역한 책. 1655년에 명나라 허남증(許纜曾)이 편찬한 7책의 『태상감응편도설』을 최성환(崔瑆煥)이 1848년(헌종 14)에 다시 편집하여 한문본 『태상감응편도설』을 간행하고, 1852년에 다시 만(滿
태평광기언해 / 太平廣記諺解 [언론·출판/출판]
중국 송나라 초에 이방 등 12명이 왕명을 받아 엮은 역대 중국 설화집 ≪태평광기≫를 한글로 번역한 책. 필사본. ≪태평광기≫는 중국 북송 태평흥국 2년에 중국 각지에 퍼져 있던 당나라 이전까지의 설화·소설·전기·야사 등을 모두 채집하라는 칙명에 의해 엮어진 전 50
태평통재 / 太平通載 [문학/구비문학]
조선전기 문신 성임이 당시 국내외의 서적들에 실려 있던 기이한 이야기들을 선별하여 편찬한 잡록. 5권 2책. 당시 국내외의 서적들에 실려 있던 기이한 이야기들을 선별하여 편찬한 것이다. 현재 5권 2책만 전하지만 전체 분량은 240권 80책 이상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태평한화골계전 / 太平閑話滑稽傳 [문학/구비문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서거정이 해학적 일화를 수록하여 편찬한 설화집. 앞 부분에는 편자의 자서와 양성지(梁誠之)·강희맹(姜希孟)의 서문이 있는데, 편찬의 동기 및 과정, 골계전적인 소화(笑話)의 효용성과 의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현존하는 원본은 없고 네 종류의 이본
태학은배시집 / 太學思杯詩集 [문학/한문학]
성균관 태학생과 초계문신들의 시를 모아 1798년에 간행한 시선집. 5권 2책. 고활자본. 정조가 성균관 춘당대(春塘臺)에서 친시(親試)를 보인 다음, 『시경(詩經)』 녹명장(鹿鳴章) ‘我有嘉賓(아유가빈)’이라는 글귀를 새긴 은배(銀杯)를 하사하고 어제문(御製文)을 내
택당집 / 澤堂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신 이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74년에 간행한 시문집. 34권 17책. 목판본. 『택당집』의 원집(原集)은 10권과 속집(續集) 6권 및 별집(別集) 18권으로 되어 있다. 원집 10권과 속집의 제4권까지는 저자 자신이 수정(手定)한 것이다. 속집 가운데
통감절요 / 通鑑節要 [문학/한문학]
송나라 휘종 연간에 강지가 사마광이 지은 『자치통감』을 간추려 엮은 역사서. 50권 15책. 휘종 때 태사(太史)가 처사(處士)의 별인 소미성(小微星)의 출현을 상주하여, 유일(遺逸)을 천거하라는 명이 있었는데, 강지는 세 차례에 걸친 초빙에도 불구하고 끝내 출사하지
통학경편 / 通學徑編 [언어/언어/문자]
1916년 신녕군(新寧郡) 참사인 황응두(黃應斗)가 편찬한 한자학습서. 2권 1책. 목판본. 경상북도 영천시의 혜연서루(蕙然書樓)에서 간행하였다. 어린이가 한자를 학습할 때 『천자문』이나 유합(類合)은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새로운 물목명칭(物目名稱)을 중심으로 하여
퇴호유고 / 退湖遺稿 [문학/한문학]
문인 이정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4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석인본. 아들 용성(用聖)이 편집, 간행하였다. 『퇴호유고』의 권두에 이용태(李用泰)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용성의 발문이 있다. 권1은 부(賦) 3편, 시 36수, 소(疏) 14편, 책(策)
팔상명행록 / 八相明行錄 [문학/고전산문]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다룬 불교서.전기. 3책·7책. 국문 필사본. 내용은 도솔내의상(兜率來儀相)·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유성출가상(逾城出家相)·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 등 8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