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현대문학 총 17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현대문학
신체시 / 新體詩 [문학/현대문학]
개화기시가(開化期詩歌)의 한 유형으로 근대시에 이르는 과도기적 시가 형식. '신시(新詩)’라는 명칭과 함께 통용되어왔으며, 그 전대의 고시가(古詩歌)나 애국가 유형, 개화가사 및 창가에 대한 새로움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신체시의 기점은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유미주의 / 唯美主義 [문학/현대문학]
예술은 비심미적(非審美的) 기준에 의하여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는 문예사조. 한국에서 유미주의는 김동인과 김영랑, 서정주 등에서 극히 단편적으로 드러나지만, ‘미’ 그 자체가 시나 소설의 본질적 측면에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겠다.
윤동주 / 尹東柱 [문학/현대문학]
1917-1945년. 시인. 본관은 파평(坡平). 아명은 해환(海煥). 북간도 명동촌(明東村) 출생. 아버지는 영석(永錫)이며, 어머니는 김룡(金龍)으로 기독교 장로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아우 일주(一柱)와 당숙 영춘(永春)도 시인이다. 14세(193
이광수 / 李光洙 [문학/현대문학]
항일기의 소설가·평론가·언론인(1892-?). 1910년 메이지학원 보통부 중학 5학년을 졸업하고, 귀국하여 정주 오산학교 교원이 되었다. 1915년 김성수의 후원으로 와세다대학에 유학하였다. 1940년 일제의 요구에 따라 창씨개명을 수락했고, 1943년 이후로 학병
이기영 / 李箕永 [문학/현대문학]
1895년(고종 32)∼1984년. 일제강점기 소설가. 호는 민촌(民村), 충청남도 아산 출신이다. 1924년 『개벽』 창간 4주년기념 현상작품모집에 단편소설 「오빠의 비밀편지」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카프(KAPF)에 가맹하였고, 월북 전의 작품으로는 1933년
이상 / 李箱 [문학/현대문학]
항일기의 시인·소설가(1910-1937). 1933년 각혈로 기사의 직을 버리고 황해도 배천 온천에 요양 갔다가 돌아온 뒤 종로에서 다방 ‘제비’를 차려 경영했다. 이 무렵 이곳에 이태준·박태원·김기림·윤태영·조용만 등이 출입하여 이상의 문단 교우가 시작됐다. 작품
이인직 / 李人稙 [문학/현대문학]
1862-1916. 신소설작가, 언론인, 신극운동가. <국민신보>, <만세보> 주필, <대한신문>을 창간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언문일치 신소설 작가로 <혈의 누>를 발표, 신연극운동의 선구자로 <은세계>를 원각사 무대에 올렸다. 작품 <귀의 성>, <치악산> 등이
임화 / 林和 [문학/현대문학]
1908-1953년. 시인. 평론가. 본명은 인식(仁植). 문필활동을 시작하였던 1926년에는 성아(星兒)라는 필명을, 1928년부터는 임화·김철우(金鐵友)·쌍수대인(雙樹臺人)·청로(靑爐) 등의 필명을 썼다. 1908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1953년 8월 북한정권의 최
자연주의 / 自然主義 [문학/현대문학]
세계의 모든 현상과 그 변화의 근본원리가 자연(물질)에 있다고 보는 철학적 체계 또는 문예사조. 우리 사회에서는 1910년대부터 일본을 매개로 자연주의가 도입되었다. 1920년대에 자연주의소설이 발표되지만,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요소를 공유하였다. 한국의 자연주의는 사실
장덕조 / 張德祚 [문학/현대문학]
1914-2003. 일제 강점기 소설가·언론인. 다른 이름은 춘금여사(春琴女史)이고, 필명은 일파(一波)이다. 본적은 경상북도 경산군(慶山郡) 자인면(慈仁面)이다. 1927년 대구여자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한 뒤 1929년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로 전학하였다. 1931년 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