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송구영신가 / 送舊迎新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 및 국문본 2종으로 간행되었으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1에 수록되어 있다. 권31을 송구영신가라고 했으나 그 안에서 다시 「송구영신가」와 「몽경시화가(夢警時和歌)」의 두
송도기이 / 松都記異 [문학/한문학]
1631년(인조 9) 이덕형(李德泂)이 쓴 송도에 얽힌 기이한 이야기를 모은 야담 설화집. 1책. 책머리에 자서를 싣고, 본문에는 서경덕(徐敬德)·차식(車軾)·안경창(安慶昌)·최영수(崔永壽)·황진이(黃眞伊)·한명회(韓明澮)·차천로(車天輅)·한호(韓濩)·이유성(李有成)·
송도말년의불가사리 [문학/구비문학]
도저히 당해낼 수 없는 일을 하는 사람을 빗대어 이르는 속담설화. 『대동운부군옥 大東韻府群玉』에 따르면 불가사리는 상상의 짐승으로 곰같이 생겼으며 악몽과 요사한 기운을 물리친다고 했으나, 여기서는 마구잡이로 아무 일이나 저질러 감당할 수 없는 존재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
송동자하산 / 送童子下山 [문학/한문학]
신라 왕자 김지장(金地藏)의 시. 『전당시 全唐詩』 권808에 수록되어 있다. 김지장이 당나라 숙종(肅宗) 때에 중국 구화산(九華山)에 은거하여 지은 시로, 현존하는 유일한 작품이다. 시의 내용은 “고국으로 돌아가면 오죽 좋으련만, 그렇다고 자주 눈물 흘릴 것 있느냐!
송부인전 / 宋夫人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남녀 주인공이 혼사장애를 극복하고 혼인에 이르는 과정을 그린 애정소설이다. 두 남녀 주인공이 가약을 맺었다가 이별을 하게 되고 여자주인공이 금전에 의하여 위기를 당하게 되자, 혼인날 암행어사로 내려온 남자주인공에 의하여
송사소설 / 訟事小說 [문학/고전산문]
억울한 일을 관청에 호소하여 해결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고전소설. ‘송사사건(訟事事件)의 발생, 해결과정 및 그 결과’가 소설의 발단·분규 및 결말에 대응되는 구조를 이루며 전개되는 소설이다. 공안이라는 용어는 원래 중국어로, 이 말의 본래 의미는 ‘관공서의
송산 / 松山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창작 경위가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하고,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에 옮겨져 있다. 송산은 개성의 진산인데, 고려 태조가 개성에 도읍한 이후, 여러 대를 계
송석원시사 / 松石園詩社 [문학/한문학]
1786년(정조 10) 천수경(千壽慶)이 중심이 된 문인들의 모임. 사대부문학이 중심을 이루던 조선 사회에 중인문학을 중심으로 하는 위항문학(委巷文學, 또는 閭巷文學)이 등장하게 되는 것은 숙종조 무렵이다. 그 뒤에 계속적인 발전과정을 거쳐서 위항인들의 문학활동 및 그
송설당집 / 松雪堂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교육자·시인 최송설당(崔松雪堂)의 시문집. 3권 3책. 석인본. 1922년 최홍렬(崔鴻烈)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윤식(金允植)의 서문과 저자의 자서가 있으며, 권말에 곽윤(郭奫)·최홍렬의 발문이 있다. 권1에 한시 200여수, 권2에 국문시가 60
송여승가 / 送女僧歌 [문학/고전시가]
1723년경에 남철이 지은 연정가사. 1723년(경종 3)경에 도사(都事)와 참판(參判)을 지낸 남철이 소년 시절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을 사모하여 지은 연정가사이다. 고려대학교 소장본 『악부(樂府)』와 필사본 『전가보장(傳家寶藏)』, 『가사집(歌詞集)』 등에 수록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