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총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일원상 / 一圓相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 교조 소태산(小太山)이 가르친 원불교의 최고 종지(宗旨). 원불교의 신앙의 대상이며 수행의 표본이다. 소태산은 20년 간의 구도과정에서 도달한 대각의 심경을 언어나 문자로 표현하기 전에 일원상(○)으로 상징하였다. 일원상은 곧 사은(四恩)으로서 인간과 불가분리의
일화 / 逸話 [문학/구비문학]
세상에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은 이야기나 정전(正傳)에서 빠진 이야기. 일화는 단일 사건이나 모티프로써 구성되어 있는 구비문학의 기초적인 유형이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긴 이야기의 구성요소를 이루기도 한다. 일화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그
임금 / 賃金 [경제·산업/경제]
노동자가 노동의 대가로서 사용자로부터 받는 재화를 화폐액으로 나타낸 것. 급료·봉급·보수 등으로 불리는 것 외에 노동자가 받는 모든 재화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근대 이전에는 임금에 의한 고용보다는 신분적 관계에 의한 고용이 일반적인 형태였으며, 소작인의 경우
임대주택 / 賃貸住宅 [사회/촌락]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민간 사업자가 건축하여 일정한 임대료를 받고 거주자에게 빌려주는 주택. 우리나라 최초의 임대주택은 1962년 대한주택공사에 의해 건설·공급된 마포구 도화동의 소형 아파트였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1972년에는 정부가 미분양된 개봉동 주공아파
임진왜란피로인 / 壬辰倭亂捕虜人 [사회/사회구조]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에 의해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 민간인들을 부르는 말. 피로인이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에 의해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인들로, 일반적으로 조선에서는 피로(被虜), 피로조선인(被虜朝鮮人), 부로(俘虜), 부인(俘人)으로 불렀는데, 전쟁 중에 사로잡힌 사람
입납 / 入納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삼가 편지를 드린다는 뜻으로 봉투에 쓰는 말. 보통 '행차 입납' 또는 '행차소 입납'이라 하여 아들이 집 떠난 아버지에게 하는 편지의 투식어로 되어 있다.
입향조 / 入鄕祖 [사회/촌락]
어떤 마을에 맨 먼저 정착한 사람이나 조상. 마을은 자연과 인간과 생활이 조화된 전통적 한국 사회의 기반적 단위이다. 여기에서는 비교적 자급자족적인 성격이 강한 농업·임업·어업 등 자연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지며, 생산과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자녀안 / 恣女案 [사회/사회구조]
전통시대 품행이 부정하거나 세 번 이상 개가한 양반집 여자의 이름과 소행을 적어 두는 대장. <자녀안> 기록은 그 자손의 관리 임용이 금지, 세 번 이상 개가만은 제도적으로 금지하려는 것이었다. 단종 때에 이르러 비로소 삼가녀가〈자녀안〉에 기록되기 시작하고, 그리고
자동차산업 / 自動車産業 [경제·산업/산업]
원동기에 의하여 육상에서 이동할 목적으로 제작된 용구를 생산하는 산업. 자동차산업은 부품 제조와 완성차 조립, 판매, 정비, 할부 금융, 보험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전후방 연관 산업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종합산업이다. 전후방산업에 대한 파급 효과와 규모의 경제 효과가
자방고전 / 字倣古篆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의 글자는 옛 전서체의 한자를 본떠 만들었다.”는 뜻으로서, 『조선왕조실록』 ‘세종 25년 12월조 기사’와 『훈민정음』의 「정인지 서문」 등에서 ‘훈민정음’의 제자 원칙이나 운용 방법을 설명한 말. 『조선왕조실록』 ‘세종 25년 12월조 기사’에 “기자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