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총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인본사상 / 人本思想 [종교·철학/유학]
사람이 우주의 주재(主宰)가 되며 우주적 중심이 된다는 사상. 인본주의는 우리 나라에서 자생한 여러 종교의 핵심사상으로 나타난다. 동학교(東學敎)의 인내천사상(人乃天思想)이나 증산교(甑山敎)에서 말하는 “마음의 도수(度數)를 변경시키면 천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표
인신공희설화 / 人身供犧說話 [문학/구비문학]
신에게 사람을 제물로 바친다는 내용이 담긴 설화. 이 설화의 예로는 개성의 「지네산전설」, 청주의 「지네장터전설」, 제주도의 「금녕사굴전설」 등이 있다. 「지네산전설」과 「지네장터전설」은 같은 유형으로서이다. 마을에 살고 있는 큰 지네에게 매년 처녀를 제물로 바쳐야 주
인심도심설 / 人心道心說 [종교·철학/유학]
성리학에서 심을 인심과 도심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이론. 심이 천리에 따라 나오는 것을 도심이라 하고, 인욕에 따라 나오는 것을 인심이라 한다. 조선조에서는 사단칠정론과 함께 주요 철학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이황은 인심을 칠정으로, 도심을 사단으로 보았다. 그리고 인심은
인주설화 / 人柱說話 [문학/구비문학]
사람을 제사의 희생물로 쓴 인신공희(人身供犧) 또는 인신공양(人身供養)을 소재로 한 설화. 거대한 토목공사인 성쌓기·둑쌓기·다리놓기 등을 할 때에 한 사람을 물 속이나 흙 속에 파묻는 것을 인주(人柱)라 한다. 산 사람의 영혼이 이 건축물에 들어갔으므로 견고하고 안전할
일관도 / 一貫道 [종교·철학]
중국에서 들어온 외래 신종교. 우리나라는 1947년 중국인 이덕복, 장서전, 김은선에 의해서이다. 이들 세 사람을 삼전인이라고 한다. 1952년 부산에서 도덕기초회라는 통합교단을 만들었다. 이후 중국에서 김복당이 들어와 일관도는 손우헌의 도덕기초회, 김복당과 신숙희의
일기 / 日記 [문학/고전산문]
매일매일의 일과 경험을 개인적인 느낌이나 사고의 추이에 따라 기록하는 자유로운 산문양식. 작자의 주관적이고 개성적인 진술이 위주가 되므로, 대개는 자전적인 기록의 성격을 띠게 되고, 그만큼 진솔한 내면의 표현이 이루어지는 문체적 특성을 가진다. 날짜 및 기상의 상태를
일문전 / 一文錢 [경제·산업/경제]
1892년부터 1894년 사이에 주조되어 사용된 상평통보. 평양에 분설된 전환국 주전소에서 주조하였다. 평양부 주전소에서 처음에는 크기가 작고 전질이 조잡한 당오전을 주조하였으나, 1892년부터 일문전을 주조하였다. 그러나 1894년 7월 8일 화폐제도 문란을 이유로
일민주의 / 一民主義 [정치·법제/정치]
이승만이 ‘한 백성(一民)’인 국민을 만들어 민주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 공산주의에 대항한다는 명분으로 제시한 이념. 일민주의는 당시에 반공이데올로기로 작용할 수 있었으나 대내적으로는 이데올로기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기존 제도와 권력을 방어하는 처지의 인사가 주장하면서
일반담 / 一般譚 [문학/구비문학]
신비스런 이야기가 제거된 평범한 사람들의 행위를 이야기한 설화유형. 다른 이야기에 비해 교훈적인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이른바 야담(野談)·일화(逸話)의 상당수가 이에 포함된다. 이를 세분하면 기원담(起源譚)·교훈담(敎訓譚)·출신담(出身譚)·염정담(艶
일심 / 一心 [종교·철학/불교]
현상세계의 모든 만물의 실체인 진여를 말함. 현상세계의 온갖 차별상이 사라지고 드러난 무차별의 진리세계이다. 이 일심은 주관과 객관의 대립이 없는 세계이므로 차별적인 인식대상이 존재할 수 없다. 이러한 일심사상은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 후기 대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