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소화 [문학/구비문학]
웃음을 주는 단편적인 이야기들을 다룬 설화의 총칭. 소화는 설화의 오락적 기능에 치중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교훈적인 요소나 윤리적 요소를 무시하고 저급화하는 경향까지 있다. 또한 등장인물의 결함이나 사기 등을 중점적으로 과장하게 되므로 비도덕적인 요소가 포함될 수
소화시평 / 小華詩評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홍만종(洪萬宗)의 시평집. 2권 1책. 필사본. 권두에는 김진표(金震標)·홍석기(洪錫箕)·김득신(金得臣)·홍만종의 서와 「소화시평제자목록(小華詩評諸子目錄)」이 있다. 상권·하권의 순으로 내용이 수록되고 이존서(李存緖)의 후발이 있다. 부록으로 「칠계창
소화집 / 小華集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박인량과 김근의 시문을 모아서 간행한 책. 1080년(문종 34)에 호부상서 유홍(柳洪, ?~1091), 박인량(朴寅亮, ?~1096), 김근(金覲) 등이 송나라에서 약재(藥材)를 보내준 데 대한 사은사(謝恩使)로 갔을 때, 송나라 사람들이 박인량과 김근이
속담 [문학/구비문학]
교훈이나 풍자를 하기 위해 어떤 사실을 비유의 방법으로 서술하는 간결한 관용어구(慣用語句). 속담의 외형구조는 짧은 형과 긴 형의 두 가지로 나눈다. 짧은 형은 대체로 복합개념을 나타내는 어구이거나 단문(單文)이며, 긴 형은 중문(重文) 또는 복문(複文)으로 되어 있다
속담대사전 [문학/구비문학]
방종현(方鍾鉉)·김사엽(金思燁)이 펴낸 속담집. 우리나라 최초의 사전체재를 갖춘 속담집이다. 1940년 조광사(朝光社)에서 간행하였다. 수록 속담수는 총 4,000여수이며 그 중 우리말 속담은 3,000여 수에 달한다. 체재는 속담을 가나다순으로 배열하고 매수(每首)
속담론 / 俗談論 [문학/구비문학]
김사엽(金思燁)이 펴낸 속담 연구서. 목차를 보면 자서(自序)에 이어 87권이나 되는 인용 서목을 소개하고 속담론으로 들어가 서론·본론에 이어 색인으로 끝내고 있다. 서론에서는 속담의 정의와 명칭, 그리고 역사적으로 속담이 원용되었던 예증을 통하여 그 가치를 논하고 있
속담사전 [문학/구비문학]
이기문(李基文)이 펴낸 속담집. 1962년 민중서관(民衆書館)에서 발간하였다. 모두 7,000여 수의 속담을 수록하여 당시 속담집 가운데 가장 많은 자료를 수록하였을 뿐 아니라 출전과 용례까지 밝히고 있어 많은 참고가 된다. 수집 방법은 방종현(方鍾鉉)·김사엽(金思燁
속담집 [문학/구비문학]
방종현(方鍾鉉)이 펴낸 속담집. 약 200여 수의 속담이 우리말·한문·영어의 3개국어로 표기되어 있다. 배열순서는 가나다순이며 해(解)·주(註)·고(考)를 달아 내용을 부연, 설명하고 있다. 편자는 이 책을 발간한 동기를 우리말의 상식을 좀더 자세히 넓히기 위하여 편찬
속동문선 / 續東文選 [문학/한문학]
1518년(중종 13) 신용개(申用漑)·김전(金詮)·남곤(南袞) 등이 중심이 되어 만든 시문집. 『속동문선』 서문에 “지난 성종 9년에 서거정(徐居正) 등이 『동문선』을 제진(製進)한 뒤 40년이 지났으니 그 뒤에 나온 시문들을 다시 초집(抄集)하여 모은 것”이라고 밝
속두류록 / 續頭流錄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김일손(金馹孫)이 지은 두류산(頭流山)유람 기행문. 이 글은 작자의 문집인 『탁영집(濯纓集)』 권5 「습유(拾遺)」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그의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유두류록(遊頭流錄)」을 본떠서 쓴 것인 듯하다. 그 내용구성은 천령(天嶺)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