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소유정가 / 小有亭歌 [문학/고전시가]

    1617년경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자연가사. 노계(蘆溪) 박인로(1561~1642)가 1617년경에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와 함께 팔공산과 금호강을 끼고 있는 소유정(小有亭)이라는 누정에서 자연과 함께 생활하는 사대부의 모습을 표현한 자연가사이

  • 소재집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변종운(卞鍾運)의 시문집. 7권 3책. 연활자본. 1950년 손자 춘식(春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유원(李裕元)·홍현보(洪顯普)·이재원(李載元)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한경중(韓敬重)·춘식의 발문이 있다. 이 책은 시초(詩鈔)와 문초(

  • 소주집 / 小洲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홍직영(洪稷榮, 생몰년 미상)의 문집. 58권 29책(이 가운데 14권 7책이 결본이다). 필사본. 서발이 없어 간행경위 등은 자세하지 않다.『소주집』 권1은 부(賦) 8편, 권2는 시 219수, 권3∼6은 결본, 권7∼24는 시 2,870수, 권25

  • 소지 / 所志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2음보 1구로 총 94구이다. 출가하여 시집살이하는 여인이 시가어른과 친가어른들에게 친정의 경사스런 소식을 듣고 제발 한번 가볼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달라고 청원한다는 뜻에서 ‘소지(所志)’라는 제목을 사용한 것이다. 내용은 남녀가 유별하

  • 소진장의전 / 蘇秦張儀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활자본. 이 작품은 사마천(司馬遷)의 『사기열전(史記列傳)』에 나오는 「소진열전」과 「장의열전」을 모태로 하여 소설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부에서 귀곡자가 소진과 장의의 운명을 점치는 대목같은 것은 작자가 첨가한 것

  • 소천소지 / 笑天笑地 [문학/구비문학]

    1918년 신문관에서 발행한 소담집(笑譚集). 이 책은 1912년 신문관에서 발간한 『개권희희(開卷嬉嬉)·절도백화(絶倒百話)』 합집에 수록된 소담 총 200편을 순서를 달리하여 재수록하고 그 밖에 20여 편의 소담을 추가한 것이다. 이 책에는 내용 목록이 따로 없으며,

  • 소타령 [문학/구비문학]

    소가 지니는 유다른 미덕과 희생으로 일관된 삶을 노래한 타령. 소를 제재로 한 가사로 민요화한 사설도 보인다. 소의 삶을 제재로 한 타령이기 때문에 일정한 기능은 없다. 겸손하고 부지런하며 점잖으면서 남을 위해 철저히 몸 바치는 소의 미덕을 찬양하는 내용이 대종을 이룬

  • 소파여사시집 / 小坡女士詩集 [문학/한문학]

    개화기의 여류시인 오효원(吳孝媛)의 시집. 양장본 1책. 활자본. 본문은 상·중·하 3편으로 분할 편집하였는데, 그 작품내용은 오언절구 79수, 칠언절구 196수, 오언·칠언고시 8수, 오언율시 33수, 칠언율시 118수, 그리고 소체(騷體)라 하여 사(辭) 1편과 가

  • 소현성록 / 蘇賢聖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새로운 유형의 가정소설이다. 주인공 소현성이 삼부인을 취한 것은 그가 여자를 밝혀서가 아니라, 주위의 권고와 여건, 그리고 모친을 평안하게 해드리려는 마음에서 한 것이다. 이것은 다른 작품에 있어서의 주인공들의 재취

  • 소호당집 / 韶濩堂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시인·문장가 김택영(金澤榮)의 시문집. 『소호당집』은 창작연대순으로 분류하여 싣고 있다. 권1에는 1862년(철종 13)에서부터 1878년(고종 15) 사이에 지은 시 241수, 권2에는 1879년에서 1887년 사이에 지은 195수, 권3에는 1889년에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