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세 개의 병설화 [문학/구비문학]
세 개의 병을 사용하여 괴물에게 납치당한 누이동생을 구출하였다는 내용의 설화. 어느 마을에 괴물이 나타나 어느 집의 딸을 납치하여 갔다. 그 오빠가 누이동생을 찾으러 집을 나가 헤매다가 산속에서 어떤 노인으로부터 흰병·파란병·빨간병을 얻는다. 노인이 가르쳐준 곳까지 가
세경놀이 / 世經─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연희되는 무당굿놀이. 세경은 세신(歲神)으로, 이 굿놀이는 농사의 풍년을 빌기 위한 일종의 유감주술극이며, 세신의 곡식을 거두어들인다는 뜻이 있다. 「세경놀이」의 내용은 지역과 심방(무당)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나, 조·보리농사의 경작에서 수확에
세경본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무속 제의의 제차 중 큰굿을 할 때 심방(무당)이 주로 농사와 가축의 풍년과 번성을 구송하는 본풀이다. 본풀이의 길이가 무척 길고 내용이 풍부해서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 함흥 지역의 「문굿무가」와 같은 계통의 무가로 간주된다
세민황제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었던 서사무가. 자료는 민족 항일기에 채록된 것과 1968년에 진성기(秦聖麒)가 채록한 것으로 모두 2편이 있다. 이승에서 포악한 짓을 하던 세민황제가 죽어 저승에 다녀와서 적선의 길을 깨닫고 선행을 했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제주도의 무
세민황제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끝부분에 그 내용이 하권으로 이어진다는 말이 있으나, 후편으로 보이는 작품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 작품은 불법을 숭상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이세민(李世民), 즉 당나라 제2대 황제인 태
세시요 [문학/구비문학]
연중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세시행사(歲時行事)에서 불리는 민요. 세시풍속은 1월에서부터 12월에 이르기까지 1년 동안 흐름에 맞추어 반복되어 온 주기전승(週期傳承)의 다양한 연례민속을 뜻한다. 세시요는 이같은 세시민속의 의식과 놀이에 부합하여 연행된 구비전승물을 일컫는다
셍굿무가 / ─巫歌 [문학/구비문학]
함경도 망묵이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1965년임석재(任晳宰)·장주근(張籌根)이 함흥에서 월남한 강춘옥(姜春玉) 무녀의 보유 자료를 채록하여 『관북지방무가』(1966)에 수록하였다. 셍굿은 ‘성인(聖人)굿’의 방언이며,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여래가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소 / 小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 원문에서 아랫사람의 인명을 표시할 때, 글자 크기가 작은데 해당 글자 앞에 표시하는 방법.
소견세려 / 逍遣世廬 [문학/고전시가]
편찬자·연대 미상의 가사집. 국문필사본. 1책. 수록내용은 「양양가 襄陽歌」·「춘면곡 春眠曲」·「퇴계가 退溪歌」·「낙도가 樂道歌」·「낙빈가 樂貧歌」·「상사별곡 相思別曲」·「사미인곡 思美人曲」·「박명가 薄命歌」·「어부사 漁夫辭」·「영남가 嶺南歌」·「금선별곡 錦仙別曲」·「
소경자탄가 [문학/고전시가]
1931년박제원(朴齊元)이 지은 천주가사. 총 156구로 4·4조의 연속체이다. 당시 박제원은 이미 소경이 되어 있었고, 병을 앓고 있어서 필기를 할 수 없었다. 벽에 기대어 구술한 것을 제자 김익배와 강한태가 받아썼다. 붓글씨로 쓴 필사본과 화산 천주교회에서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