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2,80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상홀 / 上忽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화성 지역의 옛 지명. 신라의 영토가 된 뒤 한주(漢州) 관할의 수성군(水城郡)의 4개 속현 중 하나가 되었다. 고려 태조 때 용성현(龍城縣)으로 고쳤고, 그 뒤의 기록이 없어 고려 초기 수원의 장안면(長安面)이 된 것으로 본다. 지형상으로는 진위천(振威川) 유

  • 상화도 / 上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상화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68명(남 29명, 여 3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36세대이다. 조선시대에 배씨(裵氏)가 처음으로 들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취락은 동쪽 해안 중앙부의 선착장 부근에 모여 있다. 토

  • 새남터 / 새남터 [지리/인문지리]

    가톨릭 순교성지 중의 하나. 지금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앞 한강변의 모래사장이다. 조선시대는 연무장(鍊武場)으로 쓰였으며, 때로는 국사범 등 중죄인의 처형장으로도 사용되었다. 1456년(세조 2)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였던 사육신이 이곳에서 처형되었고, 그 뒤 18

  • 새별군 / ─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咸鏡北道) 북동부에 있는 군(郡). 북쪽과 서쪽은 온성군(穩城郡)과 회령시(會寧市), 남쪽은 은덕군(恩德郡)과 접하여 있으며, 동쪽은 두만강(豆滿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인접하여 있다. 동경 129°57′∼130°20′, 북위 42°25′∼42°55′에 위치

  • 새별오름 / 새별오름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소재하는 분석구. 새별오름이 소재하는 애월읍 봉성리과 한림읍 금악리 일대의 서부 중산간지역에는 바리메오름·이달봉·가베오름·누운오름·괴오름·북돌아진오름·폭낭오름·당오름·정물오름·금오름 등 많은 오름이 분포하고 있어 동부 중산간지역의

  • 생서랑 / 生西郎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울주 지역의 옛 지명. 경덕왕 때 동안군(東安郡)으로 고쳐 경주에 합쳐졌다고 하며, 그 위치는 조선시대 울산도호부(蔚山都護府)의 서생포(西生浦) 부근이 바르다. 이는 동안군의 영현이었던 우풍현(虞風縣)이 언양(彦陽) 남쪽에 있어 경주와 합칠 수 없기 때문이다

  • 생일도 / 生日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에 있는 섬. 조선시대에는 장흥부에 속하였다가, 1896년에 완도군 생일면이 되었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금일면에 병합되었다. 1980년에 금일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생일출장소가 개설되었고, 1989년 4월에 생일면으로 승격되어 현재에

  • 생초진 / 生草津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 백제 때의 나루터[津]. 생초의 지명은 『삼국사기』나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미상지분(未詳地分)으로 나온다. 632년(무왕 33) 여름 왕이 생초원(生草原)에서 사냥을 하였다는 기록과 659년(의자왕 19) 8월 생초진에

  • 서강대교 / 西江大橋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과 마포구 신정동을 연결하는 다리. 서울특별시 중서부 지역 중심부인 영등포구 여의도동과 마포구 신정동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다리이다. 교량 북단은 창전로와 직결되어 신촌 및 서울 도심 방향으로 손쉽게 진출입 할 수 있으며, 교량 남단은 여의도

  • 서거차도 / 西巨次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 속하는 섬. 하조도(下鳥島)에서 남서쪽으로 14㎞ 지점에 있으며, 진도군 임회면 해안으로부터 남서쪽으로 26㎞ 떨어져 있다. 동거차도(東巨次島)·윗대섬 등과 함께 거차군도(巨次群島)를 이룬다. 동쪽에 대마도(大馬島)·관매도(觀梅島), 남서쪽에

페이지 / 28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