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2,80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삼방폭포 / 三防瀑布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안변군 신고산면 삼방리에 있는 폭포. 영흥만(永興灣)으로 흘러들어가는 안변남대천(安邊南大川)의 상류, 가래산(架來山) 투우곡(鬪牛谷)에 있다. 폭포는 마상산(麻桑山, 1,126m)에서 흘러내리는 계류와 그보다 북쪽에 솟은 1,168m의 능선에서 흘러내리는 계류

  • 삼보광산 / 三寶鑛山 [경제·산업/산업]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에 있는 납·아연·중정석(重晶石) 광산. 광산일대의 기반암은 편마암(片麻岩)이다. 광상은 편마암의 열극을 충전한 석영맥(石英脈)으로, 맥의 너비는 약 1.0∼5.0m, 길이는 약 1㎞로 추정된다. 광맥은 10여 곳에 계단상의 단층으로 이어져 있으며,

  • 삼봉광산 / 三峯鑛山 [경제·산업/산업]

    경상남도 고성군 삼산면 미룡리에 있는 금·은·구리·납 광산. 광산 일대의 지질은 경상계 신라통에 속하는 진동층(鎭東層)과 후기에 이를 관입한 안산암(安山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산암은 심한 변성작용을 받아 암록색을 띠며 부분적으로 녹니석화작용(綠泥石化作用)을 받았다.

  • 삼봉산 / 三峯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마천면과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87m. 소백산맥 남부에 있는 산으로 북으로 상산(霜山)·월경산(月鏡山)을 거쳐 덕유산과 연속되고 남으로는 백운산·지리산으로 계속된다. 산의 남쪽은 지리산국립공원 북쪽에 연하여 있으며

  • 삼봉처 / 三峰處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화성 지역의 옛 지명. 발생시기나 소멸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18세기 이후의 문헌에 삼봉면(三峯面)으로 기재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이 시기에 소멸된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삼봉처가 있었던 지역에 삿갓골이라는 지명이 있는 점으로 보아 삼봉처의 기능이 삿갓 제작과

  • 삼부연 / 三釜淵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소(沼). 높은 절벽 사이로 쏟아지는 폭포수가 떨어지는 지점에 가마와 같이 생긴 곳이 세개가 있어 삼부연이라고 하였다. 예로부터 이 곳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비가 내린다고 하여, 가뭄이 심할 때에는 이 지방 사람들과 관에서 합동하여

  • 삼사석 / 三射石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동에 있는 돌. 제주도 기념물 제4호. 탐라가 개국하고 고·양·부 삼성신인(三姓神人)이 삼성혈에서 솟아나 벽랑국의 세 공주를 배필로 정한 뒤 활을 쏘아 거처할 터전을 정할 때 그 화살이 꽂혔던 돌이다. 1735년(영조 11) 제주 사람 양종창(

  • 삼석구역 / 三石區域 [지리/인문지리]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의 북쪽에 위치한 구역. 삼석구역은 동쪽으로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평양직할시 강동군, 남쪽으로 평양직할시 승호구역, 서쪽으로 평양직할시 은정구역·용성구역·대성구역, 북쪽으로 평안남도 평성시와 접해 있다. 면적은 183.8㎢이고, 인구는 6만 2,7

  • 삼선암 / 三仙岩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 온정리에 있는 바위. 금강산 만물상구역만물상 입구 왼쪽에 세 바위가 나란히 솟아 있다. 구름이 흐를 때면 바위들이 움직이는 듯하여 마치 하늘에서 신선들이 내리는 것 같다고 해서 생긴 지명이다. 1998년 11월 현대그룹에 의해 금강산 관광이 시작

  • 삼수군 / 三水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북서단에 있는 군. 동쪽은 갑산군·혜산군, 서쪽은 평안북도 후창군, 남쪽은 풍산군·장진군, 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만주의 장백현과 경계하고 있다. 동경 127°16′∼128°16′, 북위 41°02′∼41°27′에 위치하며, 면적 1,795.4㎢, 인구

페이지 / 28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