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서산일락가 / 西山日落歌 [문학/고전시가]
1567년(명종 22)김응정(金應鼎)이 지은 시조. 1773년(영조 49)에 간행된 『해암문집(懈菴文集)』에 실려 전한다. 이 시조가 조식의 작품으로 기록되어 전승된 경우도 위의 두 가지 사례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만약, 『해암문집』과 「김해암가곡집서」가 발굴되지
서옥기 / 鼠獄記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한문필사본. 서류(鼠類)의 소송사건을 의인화하여 소설로 쓴 작품이다. 한글본 「서동지전(鼠同知傳)」이나 한문본 「서대주전(鼠大州傳)」과는 별개의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의인화된 쥐들의 소송사건을 통하여 인간사회의 소송사건과, 자기의
서왕가 / 西往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기에 지어진 불교가사.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지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나 확실하지는 않다. 이 견해를 인정하면 최초의 가사 작품이 되며, 가사 장르 형성 초기의 양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그 문학사적 가치가 크다. 크게 6문단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요지는
서울쥐 시골쥐 [문학/구비문학]
두 마리의 쥐를 통해서 물질적인 풍요보다는 초라하지만 정신적인 평화를 누리는 삶이 더 낫다는 것을 보여 주는 설화. 이 설화는 서울쥐와 시골쥐를 통해서 초라하더라도 평화롭게 사는 것이 화려하게 보이지만, 불건강하고 실속 없는 생활보다 더 낫다는 것을 이야기함으로써, 허
서원시사 / 西園詩社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 지석관(池錫觀)·김희령(金羲齡)이 중심이 된 문인들의 모임. 원래 서원시사·서사(西社)는 송석원시사의 별칭이었으나 그 뒤 김희령의 일섭원이 서원이라 불리게 되자 이것을 명칭으로 채택하게 된 것으로서 송석원시사의 맥을 잇는다는 의도가 다분히 내포되어 있다. 참
서원연고 / 瑞原聯稿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김려(金礪)와 그 선대의 시문을 모아 엮은 책. 3권 2책(乾, 坤). 이 책은 1738년(영조 14) 김려가 처음으로 엮었으며, 1914년 김려의 7대 방손인 김기우(金基禹)가 그 내용을 증보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간행하였다. 서문은 이병수(李炳壽)가 썼고
서유기 / 西遊記 [문학/고전산문]
명나라 오승은(吳承恩)이 지은 『서유기(西遊記)』의 번역본. 명나라 소설 『서유기』(100회)를 번역한 책이다. 오승은(1500∼1582)은 당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송의 『대당삼장취경시화(大唐三藏取經詩話)』 등의 고사와 민간에 전해 오던 각종 설화, 전설들을
서유본 / 徐有本 [문학/한문학]
1762년(영조 38)∼1822년(순조 22).조선 후기의 문인. 서호수(徐浩修)의 장남이다. 서철수(徐澈修)에게 양자 간 서유구(徐有榘)와 친형제간이며,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저자로 잘 알려진 빙허각이씨(憑虛閣李氏)의 남편이다. 동생인 서유구의 「백씨좌소산인묘지
서유영 / 徐有英 [문학/고전산문]
1801(순조 1)∼1874(?)(고종 11(?)).조선 후기의 문인. 달성위(達城尉)서경주(徐景霌)의 6대손으로서, 아버지 서격수(徐格修)와 어머니 안씨(安氏)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나, 숙부 서옥수(徐沃修)의 양자로 들어갔다. 1868년(고종 5) 이후는 유
서재야회록 / 書齋夜會錄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가전체소설. 「서재야회록」은 벼루·먹·종이·붓의 문방사우를 의인화한 작품이다. 신광한의 한문단편소설집 『기재기이(企齋記異)』에 실려 있다. 주인공인 선비가 서당 밖에서 시를 읊다가 방안에 치의현관(䅔衣玄冠)·반의탈모(班衣脫帽)·백의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