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한문학 총 89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한문학
남령전 / 南靈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옥(李鈺)이 지은 한문소설. 이 작품은 김려(金鑢)의 『담정총서 藫庭叢書』 중 이옥의 「매화외사 梅花外史」에 수록되어 있다. 「남령전」의 창작 시기는 작자의 생존 기간을 근거로 할 때, 18세기 말기에서 19세기 초 사이로 추정된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남상교 / 南尙敎 [문학/한문학]
1784(정조 8)∼1866년(고종 3).조선 후기의 문신·문인·종교인. 아버지는 남이우(南履佑)이며, 어머니는 이기풍(李基豊)의 딸 이씨(李氏)이다. 5대조인 남익훈(南益熏)이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이후로 고조부인 남기명(南紀明)은 평택
남양시집 / 南陽詩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문신 백분화(白賁華)의 시집. 상·하 2권 1책. 목판본. 권두에 이함(李涵)의 서문이 있으나 간행경위는 지면의 마멸이 심하여 알 수 없다. 권상에 시 67수, 권하에 시 41수가 실려 있고, 권말에 이규보(李奎報)의 묘지가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의 전래
남염부주지 / 南炎浮洲志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목판본. 작자의 단편소설집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실려 있다. 주인공이 꿈속에서 겪은 일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는 몽유구조의 소설로서, 작자의 철학사상이 가장 집약적으로 표
남행월일기 / 南行月日記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전주지방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 「남월행일기」는 작자 이규보의 수필적 인식에서 기필(起筆)한 기행문으로서 노정의 제시, 정경의 묘사, 지방색의 표현, 다양한 제재, 감흥의 표출 등 기행수필로서의 내용적·형식적 요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남환박물 / 南宦博物 [문학/한문학]
1704년(숙종 30) 이형상(李衡祥)이 저술한 제주도지방지. 제주도 및 그 주변 도서의 자연·역사·산물·풍속·방어 등에 대한 기록으로 1만 3850여자에 달한다. 1년 3개월간의 제주목사직을 이임하고 영천의 호연정(浩然亭)에서 완성하였다. 이형상은 1702년 3월,
내서만음 / 耐棲謾吟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이달모(李達模)의 시문집. 불분권 2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집·필사경위를 알 수 없다. 제1책에 시 301수, 잠 14편, 제문 17편, 행장 1편, 제2책에 시 453수가 수록되어 있다. 제2책의 시는 제1책의 시와 거의 중복되어 있다.
노곡만영 / 老谷謾詠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같은 마을에 살던 양씨(梁氏)·박씨 두 집안의 유고를 모아 엮은 문집. 불분권 10책. 필사본. 『노곡만영』 권두에 이윤묵(李允默)의 서문과 권말에 양대의(梁大宜)·박이호(朴履鎬)의 발문이 있다. 이 책은 작가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고 시체별(詩體別)로 분
노산취필 / 蘆山醉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춘택(金春澤)이 지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논평집. 1책. 필사본. 『노산취필』 권두에는 자서(自序)가 있어 이 책을 쓰게 된 연유를 밝혔다. 집필한 날짜도 을미맹추(乙未孟秋)로 명기하였다. 이 책은 단권으로 이루어졌다. 모두 50항목으로 나누어졌다.
노포 / 露布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그 하나는 문서에 봉투를 봉하지 않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선포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 하나는『문체명변(文體明辨)』에서 “승전(勝戰)의 보도를 널리 알리기 위하여 포백(布帛)에 글을 써서 장대 위에 걸어 누구나 볼 수 있도록 널리 알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