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수리계 / 水利契 [사회/촌락]
수도재배지역에서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조직한 계.수리공동조직. 수리계의 운영과 조직은 토지개량조합에서 수리시설을 관리하는 경우와 촌락민이 과거부터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경우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또 그 수원이 저수지냐, 하천을 막아 이용하는 보냐에 따라
수리산 / 修理山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과 군포시 속달동 및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걸쳐 있는 산. 수리산의 위치는 동경 126°50″∼126°55″, 북위 37°20″∼37°24″이고 높이는 469m이다. 조선시대에 안산군(安山郡)의 명산으로 봉우리가 매우 빼어났으며 산곡이 깊었
수리산도립공원 / 修理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군포시에 위치한 수리산(修理山, 475m)을 중심으로 지정된 도립공원. 수리산은 군포시의 서쪽에서 군포시를 병풍처럼 둘러싸는 산으로, 안양시와 안산시에 걸쳐 도립공원을 구성한다. 2009년 7월 16일 남한산성 및 연인산에 이어 경기도에서 3번째 도립공원으로 지
수리조합반대운동 / 水利組合反對運動 [역사/근대사]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조선농민의 지배와 수탈을 위해 설치한 수리조합에 반대하여 벌인 조선농민의 항쟁. 수리조합반대운동은 산미증식계획의 시행 초기부터 일어나 그것이 끝난 1934년까지 계속되었다. 첫 수리조합반대운동은 1921년 9월전라북도 익산에서 있었던 익옥수리조합과
수림서원 / 繡林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화산리에 있는 서원. 1841년(헌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배현경(裵玄慶)·배연지(裵延芝)·배인경(裵仁敬)·배주관(裵主寬)·배상곤(裵尙昆)·배경(裵褧)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
수문장 / 守門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도성 및 궁궐의 각 문을 지키던 관직. 1469년(예종 1)에 별도로 수문장을 두어 그 책임을 맡기게 되었다. ≪경국대전≫에는 서반의 4품 이상 중에서 망점(望點)에 의하여 충차되어 수점(受點) 입직하도록 규정되었다.
수문장청 / 守門將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궐 문의 수위를 맡아보던 수문장들이 소속되었던 관서. 수문장청은 종6품의 수문장 5인과 종9품의 수문장 18인 등 모두 23인이 소속되도록 규정되었는바, 그들 가운데 5과는 중인이나 서얼이 허통되는 자리였고, 1과는 금군 중에서 도목 때마다 취재에 의해
수민원 / 綏民院 [역사/근대사]
1902년 외국여행권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궁내부 산하 관서. 궁내부의 부속기관으로 설치된 수민원의 관원에는 칙임관인 총재, 부총재, 감독 각 1인, 주임관인 총무국장 1인과 참서관 3인이 있었고, 참서관이 비서과장, 문서과장, 회계과장을 각각 맡았다. 그 밖에
수박 / 手搏 [예술·체육/체육]
주로 손을 써서 상대를 공격하거나 수련을 하는 한국 전통의 맨손무예. 수박이 우리 나라에서 언제부터 행해졌는지 분명히 말하기는 어려우나, 4세기경 고구려 무덤의 벽화(만주 집안현의 무용총이나 황해도 안악의 미천왕 무덤)에 씨름과 다른 모습이 그려져 있어 이것이 수박이나
수발집 / 溲勃集 [종교·철학/유학]
해남윤씨의 입향조인 어초은공파의 8대 후손인 낙서 윤덕희의 유고이다. <수발집>은 그의 나이 21세(1705년)부터 82세(1766년)까지 쓴 총 545편 818수의 시와 산문 10편을 싣고 있으며, 서문과 발문이 없는 필사본이다. 이 문집은 연대별로 되어 있어 생애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