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수당연의 / 隋唐演義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소설 『수양제염사(隋煬帝艶史)』를 번안한 소설. 구활자본. 명대 소설 『수양제염사』(8권 40회)를 생략·축약하여 번안한 책이다. 박건회(朴建會)가 1918년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출판한 『수양제행락기』(1책)가 저인획(褚人獲)의 『수당연의(隋唐演義)』(2
수덕대부 / 綏德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계 종1품 상계의 위호. 조선 초기에는 소덕대부(昭德大夫)라 하던 것을 ≪속대전≫에 수덕대부로 개칭하였다. 이것은 다시 <대전통편>에는 의덕대부(宜德大夫)로 불리다가 <대전회통>에는 동반관계에 통합되어 숭록대부(崇祿大夫)로 개칭되었다.
수덕활인경세가 / 修德活人警世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1929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국한문혼용본과 국문본 2종으로 발간되었고, 『용담유사』 권27에 수록되어 있다. 실제 작품은 「경세가(警世歌)」 1편으로 되어 있다. 동학가사 중에는 「경세가」가 두 편이 더 있는데, 『용담유
수도 / 水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수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07′, 북위 35°05′에 위치한다. 지도읍으로부터 서쪽으로 7㎞, 임자도에서 동쪽으로 1㎞ 지점에 있다. 면적은 1.45㎢이고, 해안선 길이는 8㎞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37명(남 25명, 여 12명
수도 / 水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 속하는 섬. 창원시 진해구 동남쪽에 있다. 동경 128°45′, 북위 35°05′에 위치한다. 면적은 0.46㎢, 해안선 길이는 3.1㎞, 인구는 334명(1994년 기준)이다. 동북에서 동남 방향으로 길게 뻗은 이 섬은 서남부의 가파른
수도가 / 修道歌 [문학/고전시가]
근대기 가집에 나옹화상 작품으로 전하는 불교가사. 3·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선 수행의 과정과 득도 후의 열락을 노래한 불교가사이다. 표제는 「나옹화상수도가」이며 「나옹화상증도가」의 이본이다. 「나옹화상증도가」의 서두에서 화자는 청산 깊은 곳에 초옥을 지어두고
수도산 / 修道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대덕면과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17m. 가야산맥(伽倻山脈)상의 고봉의 하나이다. 가야산맥은 소백산맥의 대덕산(大德山, 1,290m)에서 동쪽으로 뻗어나간 한 지맥으로 우두령(牛頭嶺)에 의해서 소백산맥과 분리된 독립산
수동황 / 水同黃 [예술·체육/건축]
건축의 단청이나 그 밖의 기물 등의 채색에 사용되는 황색 빛을 띤 안료. 동황은 주로 동남아에서 자라는 해등(Gamboge))이라는 식물의 나뭇가지를 잘라 흘러내리는 즙을 굳혀 천연 수지 상태로 채취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수동황이라 하였는데 현재 수동황에 대한 정확한
수등이척법 / 隨等異尺法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말기부터 조선 말기까지 토지의 비옥과 척박의 정도에 따라 토지 측량의 자(尺)의 길이를 달리해 결(結)·부(負)의 면적을 산출하던 법. 1등전의 양전척은 주척(周尺)으로 4.775척, 2등전은 5.179척, 3등전은 5.703척, 4등전은 6.434척, 5등전은
수락산 / 水落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638m. 서울과 의정부간의 국도를 사이에 두고 서쪽에 자리잡은 북한산(北漢山 ,837m)과 도봉산(道峰山 ,710m)을 마주보고 있다. 이 산은 북쪽의 의정부로부터 남쪽의 태릉까지 연결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