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수군만호 / 水軍萬戶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4품 외관직 무관으로서 각포에 설치된 수군 제진의 장(將). 고려말에 수군이 재건되면서 각 도별로 도만호(都萬戶) 관하에 만호(萬戶)·천호(千戶) 등의 장수가 임명되어 왜구와의 전투에 임한 바 있는데 조선초에는 만호가 요해수어처별로 군사적 단위를 이루어 수
수군우후 / 水軍虞候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도의 수군절도사를 보좌하는 정4품의 외관직 무관. 수군도안무처치사도진무(水軍都安撫處置使都鎭撫)가 세조(世祖) 12년의 관제개혁 때에 수군우후(水軍虞候)로 개칭되었다. 수군우후(水軍虞候)는 충청도, 전라좌·우도, 경상좌·우도의 5수영(水營)에만 있었으며, 그 소임은
수군첨절제사 / 水軍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수군절도사 관하에 있던 종3품 무관직. 수군의 거진을 이루는 주요 포구를 근거로 하면서 인근의 제진(諸鎭)을 이루는 제포(諸浦)의 수군만호(水軍萬戶)를 관장하였다.
수군첨절제사동첨절사안 / 水軍僉節制使同僉節使案 [정치·법제]
절첩형식의 문서. 표지에 '수군첨절제사동첨절사안'으로 표기되어 있다. 본문은 상하단으로 나누어 영종, 덕적, 임치, 대부도 등의 해안, 도서 지역을 표기하였는데, 일보는 주색첨지를 붙여 기입하였다.
수군통제사 / 水軍統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기에 신설된 종2품 서반 관직. 경상·전라·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 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이다. 본래 삼남 지방의 수군은 5도로 분할되어 수군절도사를 두어 해구에 대처해왔다. 그러나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 8월 삼도수군통제사라는
수궁대장 / 守宮大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왕이 성문 밖에 거둥할 때에 대궐을 지키던 임시관직. 경관직으로 정2품 이상의 당상관이 직무에 임하였다. 수궁대장은 서울에 있는 현임 또는 전임 장신(將臣) 중에서 2인의 후보를 추천하여 이 중 1인을 뽑아 임시로 집무하게 하였으며, 또 수궁의 종사관(從事
수기직분가 / 守氣職分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목판본. 작자가 김주희(金周熙)라는 주장이 있으나 고증이 요구된다. 1929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본 2본으로 간행되었는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24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직분가(職分歌)」
수남방옹가 / 水南放翁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자신을 소재로 그의 생활을 읊은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현재 남은 부분은 92구 8단이다. 내용은 제1단 서(序, 10구) 계산(溪山)과 지은이, 제2단 10구 춘경(春景), 제3단 20구
수내동한산이씨묘역 / 藪內洞韓山李氏墓域 [사회/가족]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중앙공원에 있는 조선시대 에 조성된 한산이씨 관련 묘역.시도기념물. 경기도 기념물 제116호. 묘역은 8만7000여 평이며 이진봉(李陣峰)을 주산으로 하여 서남향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묘역 안에는 한산이씨삼세이하유사비(韓山李氏三世以下遺事碑)를 비
수녀 / 修女 [종교·철학/천주교]
카톨릭교회의 여성 수도자. 우리나라 최초의 수녀회는 프랑스 샤르트르에 본원을 둔 성바오로회이다. 1888년에 우리 나라에 들어온 성바오로회는 한국인 처녀들을 모아 수녀를 양성하는 동시에 설립목적에 따라 자선사업과 사회사업에 힘썼다. 1900년 이후에는 교육과 본당 사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