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송화온천 / 松禾溫泉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송화군 연정면 온수리에 있는 온천. 수온이 60℃ 내외로 높으며, 무색무취한 유산염천(硫酸鹽泉)으로 수량도 풍부하다. 탕원은 장연의 남대천(南大川) 하상에 위치하므로 이 물을 도수하여 이용하며, 특히 위장병ㆍ신경통ㆍ치질ㆍ외상ㆍ부인병에 좋다. 일찍부터 개발된 온천

  • 송화향교 / 松禾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송화군 송화면 읍내리에 있는 향교. 1410년(태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협실·동랑(東廊)·서랑(西廊)·신문(神門) 등

  • 송화향나무 / 松禾香─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송화군 원당리에 있는 향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144호. 향나무는 원당리 마을 가운데 길 옆에서 자라고 있다. 향나무가 자라고 있는 곳의 토양은 화강암지대에서 생긴 충적토이며 모래메흙으로서 비료분이 많고 토양수분은 보통이다. 연평균 기온은

  • 송환기 / 宋煥箕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8∼1807). 송시열의 5대손이며 사도시주부·사헌부지평·사헌부장령·군자감정을 거쳐 진산군수가 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사직하였다. 1807년 형조참의·예조참판, 1808년 공조판서, 1811년 의정부우찬성에 올랐다. 인심도심논쟁에서 한원진을

  • 송흥온천 / 松興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학성군 학상면 송흥동에 있는 온천. 『동국여지승람』에는 화통동온천(火筒洞溫泉)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개발의 역사가 길다. 성진에서 북쪽으로 8㎞ 떨어진 함경선의 농성역(農城驛)에서 갈파천(葛坡川) 계곡을 따라 서쪽으로 오르면 송흥동이 있다. 수온이 60℃ 내외

  • 송희규 / 宋希奎 [종교·철학/유학]

    1494(성종 25)∼1558(명종 13). 조선 중기의 문신. 수겸 증손, 할아버지는 소, 아버지는 방현, 어머니는 황진의 딸이다. 151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병조좌랑·현풍현감·호조정랑 등을 지내고, 1534년 흥해군수가 되었다. 저서로는『야계문집』이 있다.

  • 쇄국정책 / 鎖國政策 [역사/근대사]

    구한말 다른 나라와 관계를 맺지 않고 문호를 굳게 닫아 서로 통상하지 않는 정책. 대원군은 집권 첫 시기부터 청나라와의 사대적 외교관계 이외의 모든 대외관계를 차단하는 쇄국정책을 시도하였다. 위정척사사상은 봉건지배계급의 화이적 명분론에 입각한 주자학의 배타적 이데올로기

  • 쇠물푸레나무 / Fraxinus sieboldiana Bl. [과학/식물]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 잎은 마주나기를 하며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잎의 길이는 10∼15㎝이다. 작은 잎은 5∼9개이며 달걀형 또는 긴 달걀형이다. 작은 잎의 길이는 5∼10㎝, 너비는 1.5∼3.5㎝이다. 포린은 털이 없고 녹색 또는

  • 쇠별꽃 / Stellaria aquatica SCOP. [과학/식물]

    석죽과에 속하는 이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식물. 쇠별꽃이라는 이름은 꽃의 형태가 작은 별과 같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학명은 Stellaria aquatica SCOP.이다. 쇠별꽃은 줄기의 높이가 20∼50㎝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자라며 윗부분은 어느 정도 곧추서고,

  • 쇠뿔모양동기 / ─銅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말기 유적에서 발견되는 쇠뿔모양의 작은 청동제 손칼자루[刀子柄]. 쇠뿔 아래쪽에서부터 중간 정도가 비어 있고, 아래 끝부분 가까운 곳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 칼자루같은 것을 삽입할 때 못을 박아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대체로 길이는 10㎝ 미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