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송파시장 / 松坡市場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송파구 석촌호수 부근에 있던 나루터를 중심으로 서던 시장. 이 지역 부근에는 본래 조선 초기 이래 삼전도(三田渡)가 나루터로 개설되어 있었지만 병자호란 이후 쇠퇴하였으며, 대신 이 송파진이 주된 나루가 되어 수어청(守禦廳)에서 파견된 별장(別將)에 의해 관리
송편 / 松─ [생활/식생활]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소를 넣고 모양을 만들어 찐 떡.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소를 넣고 모양을 만들어 찐 떡. 송편이 언제부터 전해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제민요술 齊民要術≫에 보이는 종(粽)과 열(䊦)은 송편인 것으로 추정된다. ≪목은집 牧隱集≫에 보이는 팥소를
송학서원 / 松鶴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장전리에 있었던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57년(효종 8) 장현광, 1679년(숙종 5) 김성일을 추가배양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송한필 / 宋翰弼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학자·문장가. 송사련(宋祀連)의 4남1녀 중 막내아들로, 송익필(宋翼弼)의 동생이다. 송한필의 아버지 송사련이 안당(安瑭)의 서매(庶妹)인 송감정(宋甘丁)의 아들이었으므로 법의 규정대로 얼손(孽孫)에 해당되어 신분상의 제약을 크게 받다가 아버지대부터 양민
송해익 / 宋海翼 [종교·철학/유학]
1860(철종 11) - 1941. 아버지는 대전, 어머니는 고창오씨이다. 공은 1860년 3월 1일에 태어났는데, 고조 송상열의 집에 양자로 갔다. 친부의 상기를 마치고 발분 독서하여 경전과 백가의 글을 두루 섭렵하였는데, 특히 시에 뛰어나 형 송한익과 시명이 높았
송현 / 松峴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중화 지역의 옛 지명. 『삼국사기』 지리지 및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기록에 의하면 본래 고구려의 부사파의현(夫斯波衣縣, 또는 仇史縣)이었는데 신라 헌덕왕 때 송현현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라고 되어 있으나, 『대동지지(大東地志)』의 기록에는 757년(경덕왕 1
송형 / 宋蘅 [종교·철학/유학]
1830년(순조 30)∼1881년(고종 18). 조선 후기 성리학자. 송광벽 후손, 부친은 송학은이다. 유치명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 문집 2권 1책이 전한다. 문집에 수록된〈평상기문록〉은 《근사록》·《중용》 등의 성리서에 관한 내용 중 의문이 드는 부분들에 대
송호리해수욕장 / 松湖里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에 있는 해수욕장. 백사장의 길이 1.5㎞ 폭 200m 규모이며, 모래가 깨끗하고 바닷물이 맑다. 평균 수온은 20℃로 따뜻하며, 수심이 1∼2m로 깊지 않고 해저의 경사가 완만하여 가족단위의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다. 간조 시의 갯벌에서는
송호회화나무 / 松湖─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남포직할시 천리마구역 강철동에 있는 회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58호. 회화나무는 강선역에서 서남쪽으로 약 3㎞ 정도 떨어진 송호마을 서남쪽의 낮은 언덕에 있다. 서쪽과 남쪽으로는 송호논벌이 펼쳐져 있고 동남쪽으로는 남포로 나가는 고속도로와 대동강이
송화군 / 松禾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중서부에 위치한 군. 동쪽으로는 신천군·벽성군, 서쪽으로는 황해, 서남쪽으로는 장연군, 북쪽으로는 은율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4°45′∼125°23′, 북위 38°12′∼38°42′에 위치하며, 면적 723.26㎢, 인구 8만 7648명(1944년 현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