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한시 / 漢詩 [문학/한문학]

    한자로 창작된 정형시. 한시는 자수(字數)·구수(句數)의 다소, 압운의 유무, 운자(韻字)의 위치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매구(每句)의 자수는 5언·7언이 가장 많고 4언·6언도 있다. 구수는 4구·8구 및 그 밖의 것으로 크게 나뉘며, 4구의 대부분은 절구(絶句),

  • 합구금광명경석독구결 / 合部金光明經釋讀口訣 [언어/언어/문자]

    고려본 『합부금광명경』의 한문 원문을 우리말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토를 단 책. 『금광명경(金光明經)』은 『인왕경(仁王經)』·『법화경(法華經)』과 함께 이른바 ‘호국삼부경(護國三部經)’으로 불리며 고려시대에 널리 유통된 대승경전이다. 한문으로 번역된 금광명경 3종 가

  • 해동기로회 / 海東耆老會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의 문인 최당(崔讜, 1130∼1211)이 조직한 기로회(耆老會). 최당이 치사(致仕)한 후, 당시의 사대부로서 나이가 많고 덕망이 높은 전·현직(前現職) 고관자(高官者) 8인과 함께 모임을 가졌던 고려시대 최초의 기로회이다. 회원들은 열흘마다 한번씩 모여 오

  • 향가 / 鄕歌 [문학/고전시가]

    향찰로 표기된 정형시가. 신라시대로부터 고려 전기까지 창작되었으며, 도솔가(兜率歌)와 사뇌가(詞腦歌)도 포함한다. 중국시가에 대한 우리 나라 고유의 시가를 지칭하기도 하며, 신라가요·신라시가라고도 부른다.

  • 향교 / 鄕校 [교육/교육]

    고려와 조선시대의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관학교육기관. 고려는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3경 12목을 비롯한 군현에 박사와 교수를 파견하여 생도를 교육, 이것이 향학의 시초이다. ≪경국대전≫에는 교수관을 교수(종6품)와 훈도(종9품)로 구분하고

  • 향리 / 鄕吏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지방관청에 속해 지방관의 명령에 따라 그 지역의 행정실무를 처리하던 하급 관인계층. 향리제도의 기본구조는 향리의 일반서무를 관장하는 사계열과 지방 주현군과 관련된 사병계열, 그리고 조세·공부의 사창계열로 구분.1018년(현종 9)에 지방제도 정비와 향리

  • 향악정재 / 鄕樂呈才 [예술·체육/무용]

    향악 반주곡에 맞추어 공연되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궁중무용. 향악정재는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에도 당악정재와 더불어 궁중무용의 쌍벽을 이루었다. 『고려사』악지에는 향악정재라는 용어가 없고, 향악 항목 아래 정재 종목이 기재되었다. 당악이 넓은 의미에서 중국의 악(樂)을

  • 헌선도 / 獻仙桃 [예술·체육/무용]

    고려 때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우리 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대개 문종 때로 추정된다. 정월 보름날 밤 가회(嘉會)에 군왕을 송도(頌禱)하기 위하여 왕모(王母)가 선계(仙界)에서 내려와 선도(仙桃)를 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춤은 선모(仙母) 1명, 협무(挾

  • 혁련정 / 赫連挺 [문학/고전시가]

    고려전기 장락전학사, 판제학원사 등을 역임한 학자.문인. 1075년(문종 29) 진사로서 광종 때의 고승 균여(均如)의 전기인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균여전(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을 썼다. 전중성(殿中省)의 내급사(內給事)로 있던 강유현(康惟顯)이 실제 사실 중심

  • 현재설야 / 縣齊雪夜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최해(崔瀣)가 지은 한시. 칠언절구. 『동문선』 권20에 실려 있다. 이 시는 다른 시 「책임장사감무 責任長沙監務」·「도현화인운 到縣和人韻」과 함께 장사감무(長沙監務)로 쫓겨가 있을 때 지은 것이다. “세 해를 쫓겨 지내 병도 따라 생기니/단간 방 살림이

페이지 / 13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