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총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승원가 / 僧元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후기에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지은 불교가사. 필사본. 전편 405구. 이두문자 표기의 특이한 가사이다. 그 내용은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하는 덧없고 숙명적인 인생들은 세상잡사를 잊고 탐욕을 벗어나 부처님에게 귀의하여 예불염불(禮佛念佛)로써 수도정진하여 서방정
승전무 / 勝戰舞 [예술·체육/무용]
통영(충무)에서 전승되어 온 궁중무고형(宮中舞鼓型)의 북춤.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창사(唱詞) 내용의 일부에 이순신(李舜臣)의 충의와 덕망을 추앙한 부분이 있어 승전무라고 한다. 궁중에서는 ‘무고(舞鼓)’라는 이름으로 기녀와 무동들에 의하여 전승되었고, 현재도 전해지
시격권농가 / 時格勸農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 가사(東學歌辭). 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 및 국문본 2종으로 간행되었으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13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오행시격권농가(五行時格勸農歌)」와 「사시조화풍(四時造化風)」의 두 편
시경가 / 時警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 가사(東學歌辭). 목판본. 1944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간행된 『용담유사 龍潭遺詞』 권38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김주희(金周熙)라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김주희가 죽은 뒤 간행된 이 작품의 판권란에는 ‘저작 겸 발행인 김주희’가
시루말 [문학/구비문학]
경기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敍事巫歌). 1930년대 당시, 경기도 수원군 성호면 오산리에서 남무(男巫) 이종만(李鍾萬)의 보유 자료를 아키바[秋葉隆]가 채록하여, 1937년『조선무속의 연구』상권에 수록하였다. 오산 지역의 큰굿은 열두거리로 진행되는데,
시새전 / 施賽傳 [문학/한문학]
변영만(卞榮晩)이 지은 가전체(假傳體)소설. 1931년에 지은 작품으로 작자의 문집인 『산강재문초(山康齋文抄)』에 실려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글로 된 창작소설 「이상한 동무」를 『동광(東光)』에 연재하였다. 이 작품은 ‘시시덕이 등을 타고 새침덕이 골로 빠진다.’라는
시우인 / 示友人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임억령(林億齡)이 지은 한시. 7언 절구로, 산사에서 봄을 보내며 그 감회를 적어 친구에게 보인 글이다. 작자의 『석천집(石川集)』과 허균(許筠)의 『국조시산(國朝詩刪)』 권3, 남용익(南龍翼)의 『기아(箕雅)』 권3 등에 수록되어 있다. 1·2구에서는 옛
시탄사 / 時歎詞 [문학/고전시가]
1671년경에 지어진 작가 미상의 현실비판 가사. 4음보 1행의 가사체를 기준으로 107행이고, 서사(8행)·본사(93행)·결사(6행)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사본으로 전해지는 「시탄사(時歎詞)」는 연세대학교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동국가사(東國歌辭)』라는
신계후전 / 申繼後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본. 이 작품은 여러 가지 요소가 합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웅의 일대기를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특징적인 요소로 첫째, 소설의 배경이 우리나라이며,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인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실존인물의 행적을 서두에 소
신공사뇌가 / 身空詞腦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원성왕대에 있었다는 사뇌가(詞腦歌) 계통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고 제목과 그 내력이 『삼국유사』에 전한다. 「찬기파랑가(讚耆婆郎歌)」와 더불어 사뇌가 명칭이 노래제목에 붙은 드물게 보이는 자료로 사뇌가 악곡에 맞추어 불렀던 듯하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원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