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 문인·학자 총 1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문인·학자
이명칠 / 李命七 [과학기술/과학기술]
생졸년 미상. 조선 말기의 계몽적 수학자. 근대산학교과서를 출판하였다. 저서로는 『산학통편(算學通編)』 (1908)‧『정중산학통편(訂重算學通編)』(상‧하, 1913) 등이 있다.
이상 / 李箱 [문학/현대문학]
항일기의 시인·소설가(1910-1937). 1933년 각혈로 기사의 직을 버리고 황해도 배천 온천에 요양 갔다가 돌아온 뒤 종로에서 다방 ‘제비’를 차려 경영했다. 이 무렵 이곳에 이태준·박태원·김기림·윤태영·조용만 등이 출입하여 이상의 문단 교우가 시작됐다. 작품
이상계 / 李商啓 [문학/한문학]
조선후기『지지재유고』를 저술한 유학자.문인. 아버지는 이종진(李宗震)이며, 어머니는 남평 문씨(南平文氏)이다. 1808년(순조 8) 1월 20일에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불용산(佛聳山) 동쪽 기슭 아양동(峨洋洞)에 초당을 짓고 아름다운 자연의 경관을 즐기며 여생을 보냈다
이상적 / 李尙迪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지중추부사, 온양군수 등을 역임한 역관.문인. 한어역관(漢語譯官)집안 출신이다. 아버지는 이연직(李延稷)이다. 김정희(金正喜)의 문인이다. 이상적은 1828년(순조 28) 춘당대(春塘臺)에서 개강할 때에 임금으로부터 특별한 관심을 받았다. 1845년(헌종 11
이세보 / 李世輔 [문학/고전시가]
개항기 공조판서, 형조판서,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시조작가. 아버지는 군수 이단화(李端和), 어머니는 해평 윤씨(海平尹氏)로 윤응선(尹應善)의 딸이다. 1851년(철종 2) 풍계군(豊溪君) 이당(李塘)의 양자가 되어 이름을 이호(李晧)로 개명하고 소의대부(昭義大
이용휴 / 李用休 [문학/한문학]
조선후기『탄만집』,『혜환시초』,『혜환잡저』 등을 저술한 문인. 아버지는 이침(李沉)이다. 이잠(李潛)의 조카이며 남인 실학파의 중심이었던 이가환(李家煥)의 아버지이다. 어려서는 작은아버지 이익(李瀷)의 문하에서 배웠다.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이우흠 / 李友欽 [종교·철학/유학]
1673년(현종 14)∼1715년(숙종 41) 4월 30일. 조선 후기의 문신‧문장가. 자는 구이(久而), 본관은 덕수(德水), 출신지는 서울이다. 문예(文藝)에 일찍 성취하여 가르치지 않아도 번다하게 꾸미지 않았다. 특히 과거시험용 글인 공령문(功令文)을 정교하고 아
이의승 / 李宜繩 [역사/조선시대사]
1665년(현종 6)∼1698년(숙종 24). 조선 후기의 학자. 자는 승혜(繩兮), 호는 원옹(園翁), 본관은 용인(龍仁)이다. 시로써 명성을 떨쳤다. 문집으로 『원옹집』이 있다.
이재면 / 李載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의 정치가(1845∼1912). 흥선대원군의 장남, 고종의 형이다. 임오군란 때 무위대장으로서 사태수습에 힘쓴 후 호조판서·지삼군부사·훈련대장 등을 겸했다. 흥선대원군의 재집정한 후 제1차 김홍집내각 때 궁내부대신을 지냈다. 흥친왕에 책봉되었다.
이중화 / 李重華 [언어/언어/문자]
서울 출신. 국어학자. 영어과 졸업 후, 1904년 이 학교 교사를 지낸 뒤 배재학당에서 교편을 잡았다. 1929년『조선어사전』(뒷날 한글학회의 큰사전) 편찬집행위원, 1936년 이 사전 전임 집필위원 및 조선어표준말사정위원을 지냈는데, 사전 집필에서 특히 옛 제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