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총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상살이 / 上白是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웃어른께 올리는 편지의 첫머리나 끝에 쓰는 투식 용어이다. 이두식 표현인 '上白是'의 우리말로서 '사뢰어 올린다'는 뜻이다.
상소 / 上疏 [정치·법제/정치]
전통시대 신하가 왕에게 글로서 자신의 뜻을 전하는 제도. 대개 건의·청원·진정 등의 내용이다. 상소문의 서식은 ≪전율통보≫에서 볼 수 있으며, 피봉에는 ‘上前開折(상전개절)’, 합금(合襟)하는 곳에는 ‘臣署名謹封(신서명근봉)’이라 쓰고, 연폭(連幅)한 뒷면에는 ‘臣署
상용한자 / 常用漢字 [언어/언어/문자]
많고 복잡한 한자사용의 불편을 덜기 위하여 자수를 제한하여 지정한 한자. 1945년 9월 29일 한자폐지실행회발기준비위원회에서 발표한 <한자폐지실행회발기취지서> ‘실행조건’에 보면, ① 초등교육에서 한자를 빼고, ② 일상 행문(行文)에 한자를 섞지 말며, ③ 신문·잡지
상의어 / 上義語 [언어/언어/문자]
어떤 다른 어휘보다 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어휘. 상의어와 하의어는 상대적인 용어로서, 예를 들어 ‘동물’은 ‘말·소·양·돼지…’ 등의 상의어이고 그 역으로 ‘말·소·양’ 등등은 ‘동물’의 하의어인 한편, ‘동물’은 ‘식물’과 함께 ‘생물’의 하의어이고 ‘생물’은 ‘동
상징어 / 象徵語 [언어/언어/문자]
언어기호의 음성형식과 그 기호의 대상이 되는 사상(事象)과의 사이에 필연적인 상징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는 일군의 단어. 상징어는 의성어(擬聲語)와 의태어(擬態語)로 나누기도 하는데, 이것은 1차적인 유연성인가, 2차적인 유연성인가에 따라 구별된다. 곧 좁은 의미에서의 의
상징주의 / 象徵主義 [문학/현대문학]
상징적 방법에 의한 신비적 내용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려는 문예사조. 한국에서 상징주의를 도입한 것은 백대진(白大鎭)에 의하여 시작되지만, 본격적인 도입은 김억의 <쏘로굽의 인생관>, <프란쯔 시단>, 황석우의 <일본 시단의 2대 경향> 등에 의하여 활성화되었다. 한국의
상참 / 常參 [정치·법제/정치]
고려·조선 시대 매일 아침 국왕을 배알하던 약식의 조회, 또는 상참에 참여한 상참관의 약칭. 고려에서는 988년(성종 7) 이전에 5품 이상의 문·무관이 매일 아침 국왕을 배알하던 상참을 행하였다. 1012년(현종 3) ‘매5일 1회 상참’으로 제한, 고려 말까지 계
상표 / 商標 [경제·산업/경제]
사업자가 상품에 대해 사용하는 도형이나 문자, 기호 등의 표지이다.
상호부조 / 相互扶助 [사회/촌락]
다수의 개인 또는 집단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행동하면서 성립되는 사회적 관계.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서로 돕는 관행은 어느 시대,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존재해 온 사회적인 풍속이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건국이념에도 잘
색리 / 色吏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향리의 한 계층. 고려시대에 여러가지 잡무를 담당하는 ‘사’층을 색리층으로 볼 수 있다. 또한, 1051년(문종 5)에 제정된〈향리승진규정표〉에 의하면, 호장층과 6방 향리층을 제외한 모든 향리는 색리층이다. 조선 초기의 색리층은 고려의 각종 ‘사’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