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총 2,75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무심천 / 無心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의 북사면에 위치한 추정리 부근에서 발원하여 청주시 흥덕구 원평동과 상당구 오근장동의 경계에서 미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무심천은 청주시의 도시하천으로, 전체길이 34.5㎞, 유역면적 177.71㎢이다. 청주분지를 북류하며 남일면 고은리 삼
무악재 / 毋岳─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과 홍제동 사이에 있는 고개. 무악재는 안산(鞍山, 296m)과 인왕산(仁王山, 338m) 사이에 있으며, 의주가도(義州街道)인 국도 1호선이 지나고 있다. 안산과 인왕산은 화강암 산지이고, 무악재는 두 산 사이에 형성된 안부(鞍部)이다. 무악
무안갯벌 / 務安─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및 해제면 일대에 위치한 연안습지. 무안갯벌은 증도갯벌과 함께 2007년에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갯벌도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이다. 2001년 12월 28일에 국토해양부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 1월 14일에 우리나라에서 8번째로 람사
무안군 / 務安郡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영산강을 건너 나주시, 서쪽은 신안군의 많은 도서에 면하고, 남쪽은 목포시, 서북쪽으로는 깊게 만입된 함평만을 사이에 두고 영광군·함평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경 126°15'∼126°32', 북위 34°44'∼35°08'에 위
무안군읍지 / 務安郡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무안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것과 정조 연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필사본 『무안현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무안반도 / 務安半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무안군 황해안에 남북방향으로 돌출한 직사각형의 반도. 북쪽은 함평만, 서쪽은 신안군 압해읍의 많은 섬들, 동쪽은 영암만, 남쪽은 화원반도와 접하고 있다. 북쪽 무안읍에서 남단 목포시까지 약 50㎞에 이르고 그 너비는 약 20㎞이다. 행정적으로 무안읍·청계면·삼
무장 / 茂長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고창 지역의 옛 지명. 무장은 무송(茂松)과 장사(長沙)가 합쳐진 지명이다. 무송현(지금의 성송면)은 백제 때 송미지현(松彌知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무송으로 고쳤다. 장사현(지금의 상하면)은 백제 때 상로현(上老縣)이었는데, 663년 당나라의 지
무장현읍지 / 茂長縣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도 무장현(현 고창군 무장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조선 정조 연간(추정)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영조 연간에 『여지도서(輿地圖書)』를 편찬할 때 무장현에서 부본(副本)으로 작성한 두 편의 기록 중에서 『여지도서』에 수록되지 않은 것을
무제치늪 / 무제치늪 [지리/자연지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정족산 일원에 위치한 소택지. 무제치늪은 중생대 백악기 말기에 돔 형태로 관입한 화강암이 심층풍화와 차별침식으로 생성된 지형에 형성된 습지이다. 두터운 심층 풍화층 밑에 형성된 화강암 기반암이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습지가
무주 / 撫州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영변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려의 운남군(雲南郡, 또는 古靑城ㆍ古靑山)이었는데, 995년(성종 14) 무주로 고치고 방어사를 두었다. 1261년(원종 2) 가주(嘉州)에 속하였다가 1369년(공민왕 18) 태주(泰州)로 이속하였으며, 1391년(공양왕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