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후수호지 / 後水滸誌 [언론·출판/출판]
조선 후기에 중국 수호지를 한글로 번역한 책. 12권 12책. 필사본. 한자 책이름은 한글 책이름과는 다르게 끝 자를 전(傳)자가 아닌 지(誌)자로 나타냈다. 이 책은 한글 궁체의 반흘림체로 쓰되 1면을 10행씩, 1행을 21자-23자 정도로 다른 궁중 필사본들의 글
후재집 / 厚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간의 시문집. 간행연대 미상. 46권, 별집 4권, 합 50권 25책. 목판본. 권1에 시, 권2∼4에 주차·서계·수의, 권5∼7에 서, 권8∼10에 답문경의, 권11∼16에 답문예의, 권17∼20에 소학차기, 권21∼23에 대학차기, 권24
훈가사 / 訓歌辭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조 때 배이탁(裵爾度)이 지은 장편가사. 국한문 혼용 필사본. 구체적인 조목은 다음과 같다. 조손(祖孫)(25행)·부자(父子)(49행)·신민(臣民)(26행)·부부(夫婦)(32행)·형제(兄弟)(35행)·붕우(朋友)(30행)·순천성무화목(順天性務和睦)(14행)·정기
훈가자 / 訓假字 [언어/언어/문자]
한자를 훈으로 읽되 그 표의성은 버리고 표음성만을 이용하는 차자(借字). 한자의 훈을 빌려 읽되 그 한자의 본뜻과 무관하게 사용하는 훈가자는 (똑같이 훈으로 읽으면서 본뜻도 살려 쓰는) 훈독자에서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以’는 한문에서 도구나 방법 등을 표
훈도 / 訓導 [교육/교육]
조선시대 한양의 4학과 지방의 향교에서 교육을 담당한 교관. 1411년(태종 11) 성균관원 중 6품 2인을 4학의 교수로 하고, 7품 이하 5인을 훈도로 겸임 발령하여 4학의 학생들을 가르쳤다. 1466년 4부학당을 4학으로 훈도관을 훈도라 개칭하였다. 지방향교에도
훈독자 / 訓讀字 [언어/언어/문자]
한자를 훈으로 읽으면서 그 표의성을 살려서 이용하는 차자(借字). 훈독자는 한자의 훈을 빌리면서 그 한자의 본뜻을 살려 쓴 글자를 가리킨다. 여기서 ‘한자의 훈을 빌린다’는 것은 적어 놓은 한자를 음으로 읽지 않고 훈(=새김)으로 읽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봄이
훈련도감 / 訓鍊都監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에 설치되었던 중앙군영.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 8월에 임시기구로 설치되어 점차 상설기구로 변모한 뒤 1746년(영조 22) ≪속대전≫에 올라 법전에 규정되었다. 1594년 2월 무렵에는 속오법에 의한 군사 조직 체계도 갖추어지게 되었다. 훈련
훈련원 / 訓鍊院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군사 시재, 무예훈련, 병서습독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1392년(태조 1) 7월에 새 관제 반포할 때 훈련관이 설치되었다. 훈련관은 무예를 훈련하고, 병서와 전진을 교습시키는 일을 맡았다. 관원으로는 사(정3품) 1인, 군자좨주(종3품) 2인,
훈령서원 / 薰嶺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신촌동에 있었던 서원. 1699년(숙종 2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양무(朴楊茂)의 절의와 도학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박계은(朴繼恩)·박맹문(朴孟文)·박란(朴鸞)을 추가 배향하였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
훈몽자회 / 訓蒙字會 [언어/언어/문자]
최세진(崔世珍)이 어린이들의 한자(漢字) 학습을 위하여 지은 책. 1527년(중종 22)에 간행된 이래 여러 차례 중간되었다. 편저자는 그 당시 한자학습에 사용된 ≪천자문≫과 ≪유합 類合≫의 내용이 경험세계와 직결되어 있지 않음을 비판하고, 새·짐승·풀·나무의 이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