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총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남명조식설화 / 南冥曺植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전기의 학자 남명 조식(南冥曺植)에 관한 인물 설화. 남명 조식과 관련된 설화는 탁월한 학문이 신불의 도움에 의한 자각이라고 하는 점, 상사뱀 유형처럼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는 점도 각별하다. 남명이 실천의 학문을 강조하고, 자각의 학문을 내세운 것 역시 이러한 면
남사고설화 / 南師古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학자·도사(道士) 남사고에 관한 설화. 천문·지리에 정통하고 도술을 부려 신이한 행적이 많았다는 이인(異人) 남사고에 관한 인물전설이다. 남사고는 선조 때에 천문교수(天文敎授)를 지냈다는 것 외에 뚜렷한 경력은 없는데, 당대부터 여러 문헌에 많은 설화를 남
남산요 [문학/구비문학]
조선 초에 지어진 참요(讖謠). 태조의 뒤를 이을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왕세자와 세도가 사이에 갈등이 있어, 이것을 풍자하고 예언한 것이다. 『증보문헌비고』 권71에 전한다. 하룻밤 사이에 형세가 역전해서 이방석 형제가 죽고 이방원이 득세하여 정도전과 남은도 함께 목숨
남이장군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전기의 무신 남이에 관한 설화. 비범한 능력을 가졌으나 억울한 죽음을 당한 명장 남이에 관한 인물전설이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청야만집(靑野謾輯)』·『대동기문(大東奇聞)』에 문헌 자료가 전해지고 있으며, 구전설화도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문헌 자료는
남창춘향가 / 男唱春香歌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판소리. 「동창춘향가」와 짝을 이루도록 분화(分化)시킨 작품이다. 필사된 이본이 여러 개 전해 오지만 미세한 자구의 차이만 보여 주는 것들이다. 이 작품은 다른 「춘향전」·「춘향가」와 마찬가지로 춘향과 이 도령이 사랑을 성취해 나가
내 복에 산다는 딸 [문학/구비문학]
쫓겨난 여인이 미천한 남자를 만나지만 귀한 물건을 발견하여 잘 살게 된다는 내용의 설화. 일반담(一般譚)에 속하며, ‘쫓겨난 여인 발복설화(發福說話)’, ‘숯구이 총각의 생금장’, ‘복 많은 백정의 딸’, ‘막내딸과 숯구이 총각’ 등으로도 불린다. 우리나라 전지역에 두
노동요 [문학/구비문학]
노동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노동요는 의식요나 유희요와 함께 일정한 생활상의 기능을 가진 기능요에 속하며, 기능요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민요는 원래 노동요에서 시작된 다음 다른 기능요로 전용되고, 일정한 생활상의 기능을 가지지 않은 비기능요로 바뀌기도 했다
노령노래 [문학/구비문학]
함경도 지방의 민요. 러시아영토로 생업을 위하여 떠나가는 실정을 노래한 근대의 민요이다. 지난날 함경도 지방의 남자들은 삶이 어려워서 러시아 지방으로 흔히 품팔이를 나갔는데, 그 사설 속에는 참담하고 절박한 실정이 절실하게 배어 있다. 곧 생활을 개척하기 위하여 가족과
노옹화구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때 김유신(金庾信)을 찾아온 한 노인이 변신술을 부렸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 『수이전(殊異傳)』에 수록되어 있었다고 하며, 조선 선조 때 권문해(權文海)가 엮은 『대동운부군옥(大同韻府群玉)』에 실려 있다
노적봉설화 [문학/구비문학]
적과 전투를 하던 장수가 산꼭대기에 식량이 넉넉하다는 것을 과시하는 꾀를 내어서 적을 물리쳤다는 내용의 설화. 지략담에 속하며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된다. 대표적인 것이 전라남도 목포시 대의동에 있는 「노적봉전설」이다. 임진왜란 때에 이순신(李舜臣)이 이곳에 진을 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