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판서” 에 대한 검색결과 10,4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955)

사전(5,168)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경낭의 아버지이다. 죽은 줄 알았던 딸이 남편 여선담과 함께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오자 매우 기뻐하며 후원 별당에서 함께 지내도록 한다. 3년 후 딸과 선담이 고향으로 가고 싶어 하자, 온갖 보화와 전답을 선물로 준다. 선담이 장원급제하고 한림학사가 될 수 있기까지 도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司)로 개편되면서 처음 설치되었다. 정원은 각 사마다 1인씩으로 되어 있었다. 이전의 상서는 대개 추밀원의 추신(樞臣)들에 의해 겸직되었으나 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각 사의 최고관직인 판사가 여전히 재신(宰臣)들이 겸직해 각 사의 실질적인 장관이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육조의 정2품 장관직. [내용] 상서(尙書)‧전서(典書)‧정경(正卿)이라고도 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각 조의 장관을 전서라 하였으며 품질도 정3품이었다. 1405년에 육조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정2품으로 승격되고, 육조를 중심으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육조의 최고 관직
    정의육조의 최고 관직 | 문광부표기Panseo | MR표기P’an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4,580)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40_0670 位行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20_0030 吳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20_0040 柳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20_0170 丁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答權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130 答權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47)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박 할머니 이야기가 끝난 후, 이 할머니는 더 이야기를 하지 않겠다고 완강하게 거절하다가 박 할머니가 “성님 ?릅써”하고 여러번 청하자, 겨우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이야기 내용은 임진록에서 볼 수 있는 모티브도 있으나 재미있어서 채록하였다. *
    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제주도 남제주군 안덕면 | 제보자이화옥
  • 난 명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어서 조사자가 긴 이야기를 부탁하자 제보자가는 짧은 이야기여서 인지 앞의 이야기를 할 때보다 자신감이 없는 목소리였다. *
    조사일시1985-04-06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 | 제보자민병문
  • 한양 황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종건씨의 앞 이야기가 끝나자, 신종옥씨가 이 제보자에게 이야기를 해 보라고 하자 제보자는 이야기보다는 시조창을 녹음하자고 했다. 조사자가 시조창은 조사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하자, 제보자는 조사목적이 아직도 이해가 안 된다는 듯 한 표정을 짓고는 긴 수염을 손으로 ...
    조사일시1980-12-02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 제보자김재열
  • 병조 된소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기수씨의 이야기를 받아 ?저 숫놈이 나왔드라다.?라고 하자 조사자가 거기에 대해 듣고 싶다고 했다. 제보자는 ?이 마한 눔(신기수씨를 지칭) 그저 왔다갔다 꺼붙인다?라고 나무라며 시작했다. *
    조사일시1980-02-29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1동 | 제보자이기백
  • 정승 집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지리산 포수 이야기나 여우가 둔갑한 이야기를 유도하자 어렸을 때 들어서 다 잊어버리고 모르겠다고 하면서 옛날에는 이야기를 한 번만 들어도 옮겼는데 이제는 그런 이야기도 안하니까 잊어버렸다고 하였다. 조사자가 계속 조르면서 지렁이가 사람된 이야기나 장수 이...
    조사일시1982-07-31 | 조사장소전라북도 군산시 중3가동 | 제보자진상춘

기초학문(1)

  • 조선 중기(선조-현종) 삼공, 6의 인사운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동원, 게재일 : 2009
    23566 최동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09 조선 중기(선조-현종) 삼공, 6의 인사운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46)

  • 新貨行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졔조한다던  동화가 탁지에 도착되야 작일부터용한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砥平 北面 道淸里 所在 鍮洞居 申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砥平 北面 道淸里 所在 鍮洞居 申家 沓 五石六斗落과 田 八日耕 新舊文券 合五十九張을 去 戊戌年에 本人이 錢 一萬兩에 典執야 過限不報고 沓主가 以其土 斥給矣러니 申子弟 永休氏가 成 新文記一張야 現欲再賣니 豈免賊名가 券在我手니 無論 某人고 切勿見欺옵...
    게재일1901년 3월 30일 | 기사분류광고
  • 砥平 北面 道淸里 所在 鍮洞居 申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砥平 北面 道淸里 所在 鍮洞居 申家 沓 五石六斗落과 田 八日耕 新舊文券 合五十九張을 去 戊戌年에 本人이 錢 一萬兩에 典執야 過限不報고 沓主가 以其土 斥給矣러니 申子弟 永休氏가 成 新文記一張야 現欲再賣니 豈免賊名가 券在我手니 無論 某人고 切勿見欺옵...
    게재일1901년 4월 1일 | 기사분류광고
  • 砥平 北面 道淸里 所在 鍮洞居 申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砥平 北面 道淸里 所在 鍮洞居 申家 沓 五石六斗落과 田 八日耕 新舊文券 合五十九張을 去 戊戌年에 本人이 錢 一萬兩에 典執야 過限不報고 沓主가 以其土 斥給矣러니 申 子弟 永休氏가 成 新文記一張야 現欲再賣니 豈免賊名가 券在我手니 無論 某人고 切勿見欺...
    게재일1901년 4월 5일 | 기사분류광고
  • 砥平 北面 道淸里 所在 鍮洞居 申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砥平 北面 道淸里 所在 鍮洞居 申家 沓 五石六斗落과 田 八日耕 新舊文券 合五十九張을 去 戊戌年에 本人이 錢 一萬兩에 典執야 過限不報고 沓主가 以其土 斥給矣러니 申 子弟 永休氏가 成 新文記一張야 現欲再賣니 豈免賊名가 券在我手니 無論 某人고 切勿見欺...
    게재일1901년 4월 6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3)

  • (고문순례) 정 지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고문순례) 정 지감 (고문순례) 정 지감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관주 | 사료철명교육제주
  • 효과적인 와 학습장 정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효과적인 와 학습장 정리 효과적인 와 학습장 정리 效果的인 와 學習帳 整理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학습지도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사홍 | 사료철명부산교육
  • (연구논단) 와 교육의 효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구논단) 와 교육의 효과 (연구논단) 와 교육의 효과 (연구논단) 와 敎育의 效果 교육 문헌 교육과정 학습지도 교육총류 교...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남석 | 사료철명강원교육
  • (교육 논단) 교사의 발언과 문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논단) 교사의 발언과 문제 (교육 논단) 교사의 발언과 문제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교육과정 학습지도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한기옥 | 사료철명교육제주
  • (논단) 시 지도에 있어서 의 구조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논단) 시 지도에 있어서 의 구조화 (논단) 시 지도에 있어서 의 구조화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학습지도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영선 | 사료철명교육전남

주제어사전(46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의 정2품 장관직. 주요 임무는 각 조를 총괄하는 이외에 소속된 속아문을 당상관이나 제조로서 지휘하였다. 또, 의례·제도·노비·영선·진헌·국혼·국상·전운·군적개수 등을 임시적·집중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의례상정소·전제상정소·육조수찬색·실록청·관복색·간경도감

  • 권대운 / 權大運 [종교·철학/유학]

    1612(광해군 4)∼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지중추부사 권상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 권협, 아버지는 사어 권근중, 어머니는 이유혼의 딸이다. 1649년에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정언이 되었다. 이후 호조, 형조, 예조, 병조

  • 정건조 / 鄭健朝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3∼?). 1823년 증광 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규장각직각·병조정랑·대사성·이조참의를 지냈고, 사은 겸 동지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이후 형조·예조·이조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 신석희 / 申錫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73). 헌종 때 증광별시에 급제하여, 철종 때 대사성·홍문관부제학·규장각직제학·이조참판·황해도관찰사와 도총관·예조·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형조에 이르렀다. 고종 때 실록교정청의 당상이 되었으며, 홍문관·예문관·규장각의 제학, 대

  • 이기연 / 李紀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3∼?). 할아버지는 이명중, 아버지는 이의열, 어머니는 홍억의 딸이다. 우의정 이지연 아우이다. 1805년(순조 5)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대사간·우승지·공조·우참찬 등을 거쳤다. 1836년 공무를 폐기한 죄로 삭직되었으나, 이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