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당상관” 에 대한 검색결과 1,5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89)

사전(1,122)

  • 절충장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무신 정3품 의 품계명. [내용] 1392년(태조 1) 7월 조선건국 직후 처음 관제를 정할 때 문산계에서 독립된 무산계 가운데 가장 높은 관계로 규정되었다. 그 뒤 1466년(세조 12)에 이르러 으로 되었다...
  • 통정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3품 상계(上階)의 품계명. [내용] 정3품 상계부터 이라 하였고, 하계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3품 상계는 통정대부, 하계는 통훈대부로 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儀賓)은 봉순대부(奉順大夫) 이상의 품계를 가진 사람이다. 이러한 은 의관(醫官)‧역관(譯官) 등 기술관, 또는 환관(宦官) 등에게도 간혹 제수하였으나 이는 특례이고 대부분 양반이 독점하였다. 고려시대는 국정의결에 2품 이상의 재추(宰樞)만이 참여할...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조의(朝議)를 행할 때 당상(堂上)에 있는 교의(交椅)에 앉을 수 있는 관계(官階) 또는 그 관원.
    정의조선시대 조의(朝議)를 행할 때 당상(堂上)에 있는 교의(交椅)에 앉을 수 있는 관계(官階) 또는 그 관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angsanggwan | MR표기tangsang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놀이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우희연희제목 다 ()놀이 〈()놀이〉는 부정부패한 관리를 풍자하는 놀이이다. 《예종실록(睿宗實錄)》4권 33장에 의하면 무자(戊子)년에 수십 명이 나(儺)를 하면서 모두 의 의복을 갖추고 궁궐의 뜰에 입장하여 서로 놀이하기를, “영감은 언...
    대분류우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고서·고문서(366)

  • 1868년 기윤진(奇允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8년(고종5)2월에 기윤진(奇允鎭)을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겸 오위장(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兼五衛將)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절충장군은 정3품 ()의 품계이고, 첨지중추부사는 왕명의 출납 등을 맡아보던 중추부의 정3품 이다. 오위장또한...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1720년 안두상(安斗相)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720년(숙종46)3월 15일에 이조에서 안두상을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통정대부는 정3품 ()의 품계이다. 이는 조선조 후기의 관직 제도사와 문화사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893년 서규현(徐奎賢)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93년(고종30)에 서규현(徐奎賢)을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 行 龍驤衛副護軍)에 임명한 문서이다. 절충장군은 정3품에 ()의 품계이고, 용양위부호군은 오위(五衛)의 하나인 용양위 종4품 관직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이천서씨 서순재가
  • 1747년 유인이씨(孺人李氏)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7년(영조23) 에 영조 가 김렴 의 처 이씨를 숙부인 으로 추증하는 문서이다. 숙부인은 정3품 처에 해당한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745년 김대(金岱)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5년(영조21) 에 영조 가 김대 를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절충장군은 정3품 에 해당한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구술자료(1)

주제어사전(9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은 의관·역관 등 기술관, 또는 환관 등에게도 간혹 제수하였으나 이는 특례이고 대부분 양반이 독점하였다.

  • 구사 / 丘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종친·공신· 등에게 배당되어 이들을 모시고 다니는 하인무리. 이상의 배당자들은 아일(衙日)에 호상(의자의 일종)을 사용하여 그 호상을 들이고 내는 일을 감당하는 자들로 배정하였다. 서반 은 호상을 쓰지 못하여 제외되었다.

  • 명선대부 / 明善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계 정3품 상계의 위호. 종친문산계(宗親文散階) 정3품 상계의 품계명으로서 명선대부(明善大夫) 이상을 이라 한다.

  • 상온 / 尙醞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시부의 3품 . 정원은 1인이다. 술 빚는 일을 관장하였다. 환관으로 임명되었다.

  • 승지 / 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 도승지·좌승지·우승지·좌부승지·우부승지·동부승지 등 6승지를 말하며,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