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유덕장”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赫然)의 종손, 성삼(星三)의 아들이다. 벼슬은 종2품인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작품세계] 은 조선 중기의 이정(李霆)과 조선 후기의 신위(申緯)와 함께 조선시대의 3대 묵죽화가이다. 과 같은 시대 인물인 신광수(申光洙)는 『석북...
    이칭별칭 자고(子固), 성유(聖攸)| 수운(岫雲), 가산(?山)
  • 심정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松泉筆談)』에 “당시 ()의 묵죽과 더불어 그의 묵포도(墨葡萄)가 세상을 휩쓸었다.”고 하였듯이, 조선 후기 포도그림의 대표적 화가로 평가된다. 대표작으로 「묵포도도」(간송미술관 및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가 있다. 『한국회화대관(韓...
    이칭별칭 명중(明仲)| 죽창(竹窓), 청부(靑鳧)
  • 송상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 중기의 이정(李霆)과 더불어 묵죽화에서 병칭되고 있는 ()의 대나무 그림과 상통되는 바 크다. 대표작으로 <묵죽도> 연폭병풍(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 있으며, 이밖에도 그의 묵죽들이 고려대학교와 간송미술관 등에 여러 점 소장되어 있다.
    이칭별칭 원복(元復)| 소산(蘇山)
  • 묵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알려지고 있다. 후기에는 ()과 신위(申緯)가 문인 묵죽화의 전통을 계승한 대표적인 사대부 화가들이다. 의 묵죽은 기본적으로는 이정의 묵죽 화풍을 바탕으로 하여 발전한 것이다. 하지만 <설죽도>에서 보이듯이 이정의 대나무 그림에 비하여 댓잎 등이...
  • 신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또한, 그림은 산수화와 함께 묵죽에 능하였다. 이정(李霆)‧()과 함께 조선시대 3대 묵죽화가로 손꼽힌다. 강세황(姜世晃)에게서 묵죽을 배웠던 그는 남종화(南宗畫)의 기법을 이어받아 조선 후기 남종화의 꽃을 피웠다. 그의 묵죽화풍은 아들 명준(命準)...
    이칭별칭 한수(漢?)| 자하(紫霞), 경수당(警修堂)

고서·고문서(5)

  • 題家藏畫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Link?DCI=ITKC_MP_0597A_0140_030_0240_2014_003_XML 003 國朝畫家,在穆陵盛際,唯金禔擅名,【號醉眠】 又如石陽正之竹,特稱神妙。近世尹恭齋之人物,駱西【恭齋子德熙】之馬,皆極其妙。卞尙璧特以畫貓稱,世謂之卞古羊。【方言貓曰古羊】 【號峀...
    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주역대전 : 中孚卦_효사-상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가 되었다. 왕망이 망한 뒤 양주(凉州)로 달아났다가 외효(隗囂) 밑에서 벼슬하여 수덕장군(軍)이 되었다. 다시 광무제(光武帝)에게 귀순하여 외효를 격파했다. 태중대부(太中大夫)에 이어 건무(建武) 11년(35) 농서태수(隴西太守)가 되어 군대를 이끌고 선령강(先...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추안급국안 : 경술년(1730, 영조 6) 반역사건 신문기록(6)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之婢子二年使喚是如可丙午年良中逃走是白去乎玉貞消息漠然 不知是乎旀矣身之外三寸玉貞母自陽身乙作妾居 生而玉貞段自陽之前夫所生自陽前夫卽安老積是乎旀矣 身善於龐灾造給小鐵事段玉貞以凶惡之人做出白地虛言 以陷矣身是白齊此外更無所達相考處置敎事 ○ 박천재를 처음으로 조사하다 同日罪人 天材...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7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關內程史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함.]」 「群馬圖」 「八駿圖」 「春池洗馬圖」 「刷馬圖」【以上, 竝有駱西姓名私印及“駱西”小印.】 「霧中睡竹圖」, 峀 峀 : 저본에는 ‘岫’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므로 바로잡음. 雲【, 有“峀雲”私印.】 「雪竹圖」【有峀雲字, 竝有峀雲印.】 「劍 劍 : 저본...
    대표표제어關內程史 | 목차熱河日記
  • 추안급국안 : 경술년(1730, 영조 6) 반역사건 신문기록(5)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亦傳敎推考敎是臥乎在亦矣身 當初居在忠淸道瑞山白也嶺而乃座首婢妾之所 生也父死母在而有兄弟貴先八先及玉眞玉梅矣身寄食於 六寸家而六寸欲以爲婢故矣身行乞到西江則人皆不爲容 接矣一日到道昌家則道昌問以何來故答以自瑞山來到且 言其根本則道昌以爲可矜仍令留在是白如乎乾川洞鄭先 達以議婚事來往道昌家問...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7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묵죽화가(1675∼1756).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이정의 묵죽화풍을 이어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정·신위와 함께 조선의 3대 묵죽화가로 이름을 날렸다. 유작으로〈설죽〉·〈설죽도〉·〈황강노절〉과 팔폭병풍 등이 있다.